(Quetzalcoatlus northropi had a wingspan of around 11 metres, which meant it had to jump into the air to take off. Credit: James Kuether)
백악기 말인 6700만년 전 현재의 텍사스인 북미의 습지대에는 역사상 가장 거대한 날짐승인 케찰코아틀루스 노스로피 (Quetzalcoatlus northropi)가 하늘을 날고 있었습니다. 하늘의 티라노사우루스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거대한 익룡으로 날개를 펼치면 폭이 적어도 11m에 달해 경비행기와 견줄 만한 크기였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거대한 크기 때문에 오히려 과학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논쟁을 낳은 익룡이 케찰코아틀루스와 그 근연종들입니다. 날개폭은 3m 정도인 알바트로스도 이륙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을 생각하면 11m나 되는 케찰코아틀루스는 더 이륙이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바닷가 절벽에서 글라이더처럼 뛰어 내리는 복원도가 흔히 제작되었지만, 이는 케찰코아틀루스 화석이 바닷가가 아닌 내륙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과 배치됩니다. 거대한 부리를 이용해 착륙하지 않고 물고기를 낚는 것 역시 저항을 생각하면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이 문제들에 대해서 제 책인 포식자에서도 다룬 바 있습니다.
책 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347200
척추동물 고생물학 저널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과 PLoS Biology, PLoS ONE은 케찰코아틀루스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들을 종합한 여러 편의 논문을 통해 케찰코아틀루스의 실제 모습의 현재의 왜가리 (heron)와 가장 유사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들은 1975년 발굴된 케찰코아틀루스 노스로피와 이보다 작은 근연종인 케찰코아틀루스 라우소니 (Quetzalcoatlus lawsoni)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당시 거대 익룡의 생태학적 지위를 연구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작지만 그래도 날개폭이 4.5m에 달하는 라우소니도 강한 다리 힘으로 지상에서 뛰어 올라 하늘로 날아오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심지어 케찰코아틀루스 노스로피도 2.5m나 뛰어올라 날개를 펼쳐 비상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들의 몸 구조를 생각하면 비행을 하지 않았는데도 이렇게 큰 날개와 가벼운 골격 구조를 지녔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으며 살고 있던 환경을 감안하면 지상에서 이륙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입니다.
주로 사람 (?)을 사냥하는 공룡 영화와 달리 이들의 주된 먹이는 물고기나 작은 공룡/도마뱀/양서류 등 작은 먹이었습니다.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목이 가늘어서 큰 먹이는 통채로 삼키기 힘들었고 독수리나 콘돌처럼 갈고리 같은 부리가 없어 시체나 큰 먹이를 뜯어 먹기도 힘들었습니다. 대신 핀셋이나 젓가락 같이 길고 가느다란 부리를 이용해 작은 먹이를 집어 먹는데 유리했습니다. 현생 조류 가운데 왜가리와 가장 유사한 방식입니다.
다만 그렇다면 왜 이렇게 몸집이 커졌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입니다. 몸집이 커질수록 날기가 힘들텐데 이를 극복하고 엄청나게 커졌다는 것은 뭔가 이유가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큰 먹이를 사냥할 것도 아니고 하늘에서 다른 큰 천적을 피할 것도 아니라면 과연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몇 가지 큰 의문점이 해결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많은 미스터리가 남아 있습니다. 결국 더 많은 화석과 연구를 통해 의문점을 풀어야 할 것입니다.
참고
Matthew A. Brown et al, Preface,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21). DOI: 10.1080/02724634.2020.1853560
Matthew A. Brown et al, The discovery, local distribution, and curation of the giant azhdarchid pterosaurs from Big Bend National Park,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21). DOI: 10.1080/02724634.2020.1780599
Brian Andres, Phylogenetic systematics of Quetzalcoatlus Lawson 1975 (Pterodactyloidea: Azhdarchoide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21). DOI: 10.1080/02724634.2020.1801703
Brian Andres et al, Morphology and taxonomy of Quetzalcoatlus Lawson 1975 (Pterodactyloidea: Azhdarchoide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21). DOI: 10.1080/02724634.2021.1907587#_i8
Thomas M. Lehman, Habitat of the giant pterosaur Quetzalcoatlus Lawson 1975 (Pterodactyloidea: Azhdarchoidea): a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f the Javelina Formation (Upper Cretaceous) Big Bend National Park, Texa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21). DOI: 10.1080/02724634.2019.1593184
Mark P. Witton et al, On the Size and Flight Diversity of Giant Pterosaurs, the Use of Birds as Pterosaur Analogues and Comments on Pterosaur Flightlessness, PLoS ONE (2010). DOI: 10.1371/journal.pone.0013982
Nicholas R. Longrich et al, Late Maastrichtian pterosaurs from North Africa and mass extinction of Pterosauria at the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PLOS Biology (2018). DOI: 10.1371/journal.pbio.2001663
Journal information: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 PLoS Biology , PLoS ONE
https://phys.org/news/2021-12-largest-ever-animal-giant-heron.html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