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아처럼 세대가 짧은 생물의 경우 불과 수일만에도 항생제 내성을 진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처럼 세대가 긴 생물의 경우 의미있는 진화를 목격하는 데 매우 긴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인지하지 못할 뿐이지 인류의 진화는 현재도 진행 중이라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진화를 외형적인 변화 위주로 이해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진화라고 하면 직립보행을 하거나 팔 다리가 바뀌는 등 상당히 큰 변화를 생각하지만, 실제 진화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 더 많이 일어납니다. 질병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가 대표적입니다.
외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면역력에 관련된 유전자나 만성 질환에 관련된 유전자는 죽고 사는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성이 있어 강력한 진화압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유당 분해능력처럼 음식을 먹는 능력도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콜롬비아 대학의 조셉 픽크렐(Joseph Pickrell, an evolutionary geneticist at Columbia and New York Genome Center)이 이끄는 연구팀은 15만명의 영국인과 6만명의 유럽계 미국인의 유전자를 조사해 이와 같은 진화가 현재 인구집단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20세기 이후 환경 변화에 맞춰 심장질환, 고콜레스테롤, 비만, 천식 등에 관련된 유전자가 생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것입니다.
20세기 전까지 인류의 주된 사망 원인은 결핵 같은 감염성 질환이었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 강력한 선택압으로 작용했던 것은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20세기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감염성 질환이 크게 감소하면서 수명이 길어진 것만이 아니라 사망 원인도 뇌혈관 질환, 심장질환, 당뇨 등으로 크게 변했습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병에 영향을 주는 ApoE4 같은 유전자나 흡연과 관련된 CHRNA3 유전자의 변이가 현재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자손에게 전달되는 비율도 미묘하게 차이가 있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물론 과거와 달리 의술이 발전하면서 조기에 사망할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기는 했지만, 그래도 사망률의 차이는 후손을 얼마나 많이 남기는지에 영향을 준다는 것입니다.
이 연구 결과는 21세기에 오면서 사망률 자체가 크게 줄어 매우 치명적인 유전질환이 아닌 다음에는 이제 더 이상 선택압이 작용하지 않는다고 보는 견해를 반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망률 자체가 크게 낮아진 것은 분명한 사실이며 과거처럼 강력한 선택압이 작용한다고 보기는 힘들 것입니다. 그래도 영향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죠.
다만 점점 더 의술이 발달해 만성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후손을 남기는 데 거의 영향이 없게 되면 인류의 진화 역시 거의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것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는 모르겠지만, 인류가 지구 역사상 유래없는 생명체라는 점은 확실해 보입니다.
참고
Explore further: Ongoing natural selection against damaging genetic mutations in humans
More information: PLOS Biology (2017). DOI: 10.1371/journal.pbio.2002458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