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SARS-CoV-2 코로나 바이러스는 자외선에 취약하다.

 


(SARS-CoV-2 (shown here in an electron microscopy image). Credit: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NIH)



 코로나 19를 일으키는 SARS-CoV-2 바이러스는 환경 조건에 따라서 전파력이 크게 달라집니다. 널리 알려진 것처럼 겨울철에 전파력이 강하며 환기가 되지 않는 장소에 사람이 밀접해 있을 때 전파력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실내 활동이 많아지고 환기가 잘 되지 않는 겨울철에 유행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물론 열대 지방에서도 코로나 19가 창궐하는 상황을 생각하면 계절적, 기후적 영향만이 전부는 아니지만, 같은 국가 내에서는 분명 계절성 유행을 띄는 특징이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그 이유 중 하나로 SARS-CoV-2가 햇빛에 불활성화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햇빛 속의 자외선이 바이러스를 파괴시킨다는 것인데, 사실 인간처럼 두꺼운 피부가 없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가운데는 자외선에 취약한 종들이 적지 않습니다. 특히 바이러스는 해로운 자외선에서 RNA/DNA를 막아줄 유일한 방어막이 얇은 단백질 분자 하나뿐인 경우가 많아서 햇빛에 더 취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 산타 바바라 캠퍼스의 파올로 루자토-페지즈 교수 (UC Santa Barbara mechanical engineering professor Paolo Luzzatto-Fegiz)가 이끄는 국제 과학자팀은 SARS-CoV-2의 RNA를 파괴하는 자외선이 UV-B만은 아니라는 주장을 내놓았습니다. 자외선에서 가장 강한 에너지를 지닌 UV-C는 대부분 오존층에서 차단되지만, 이보다 에너지가 적은 UV-B는 일부 통과할 수 있습니다. UV-B는 과도하게 노출되면 인체에도 해롭지만 SARS-CoV-2 같은 바이러스에는 더 해롭습니다. 



 연구팀은 SARS-CoV-2 바이러스를 햇빛에 노출시킨 후 얼마나 빨리 불활성화 되는지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생각보다 훨씬 빠른 10-20분 후 바이러스 불활성화가 일어났습니다. 이 바이러스가 UV-B에만 취약하다고 가정할 경우보다 이론적으로 훨씬 빠른 것입니다. 따라서 연구팀은 지표에 풍부하게 닿는 파장인 UV-A 역시 바이러스 불활성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소독에 주로 사용되는 UV-C는 인체에 매우 해롭기 때문에 특수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UV-B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UV-A는 인체에 크게 해롭지 않고 평범한 LED 등으로도 만들 수 있어 훨씬 응용 범위가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UV-A만으로 충분한 바이러스 불활성화가 일어나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아무튼 SARS-CoV-2가 햇빛에 약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햇빛이 내려쬐는 야외에서 전파력이 없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코로나 19 감염은 밀접 접촉 시 어디에서든 일어날 수 있습니다. 불활성화가 일어나기 전 10-20분 정도면 호흡기 비말이 다른 사람의 입과 코로 들어가는 데 충분하고도 남는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손소독은 계절과 장소에 관계없이 코로나 19 전파를 막는데 가장 필수적인 습관일 것입니다. 



 참고 



https://medicalxpress.com/news/2021-03-urge-closer-sunlight-efficacy-inactivating.html


Paolo Luzzatto-Fegiz et al. UVB Radiation Alone May Not Explain Sunlight Inactivation of SARS-CoV-2,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21). DOI: 10.1093/infdis/jiab07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