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어떤 결과가 나오게 될지는 아직 미지수이긴 하지만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이 지난 6월 FOMC 에서 양적 완화의 출구전략을 시사한 이후 '버냉키 쇼크'라고 불리는 금융 시장의 변동 상태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 http://blog.naver.com/jjy0501/100190360026 참조) 미국 연방준비위원회 (연준) 가 양적 완화를 중단하게 될 경우 여러가지 변화가 예상되는 데 그 중 하나는 바로 금값과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는 압력을 받게 된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국제 금값은 온스당 1300 원선도 무너져 지난 6월 21일 온스당 1291.6 달러선까지 하락했습니다. 지난 4월 폭락장을 연출하며 온스당 1500 달러 선이 무너진 이후 한동안 다시 반등과 하락을 거듭했던 국제 금값은 길게 보면 2011 년 9월 5일 1900 달러에서 고점을 찍은 후 점차 하락세로 반전해서 1300 달러선 밑으로 떨어진 셈입니다. 1300 달러선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10 년 9월 이후 2년 9개월 만에 일입니다.
(COMEX 국제 금 시세 Source : NASDAQ)
올해 (2013 년) 들어 금값이 가파르게 하락하는 이유에 대해서 여러가지 설명들이 나왔는데 대표적인 것은 주요 금 소비국인 중국과 인도의 소비 부진,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인한 안전 자산인 금에 대한 인기 하락 등이었습니다. 온스당 1300 달러 선에 이르러서는 저가 매수를 노린 매수세가 있기도 했고 한국에서는 과세 회피용으로 금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어 잠시 금이 인기를 끈 적이 있지만 버냉키 쇼크 이후에는 한동안 금값은 하락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한데 달러화의 가치가 올라가면 상대적으로 금의 가치는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달러를 많이 풀어서 달러가 흔해지면 달러 가치는 떨어지겠지만 금은 그만큼 많이 풀리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금의 가치는 변동이 덜할 것입니다. 따라서 달러가 많이 풀리는 상황에서는 금의 가치는 오를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이전에는 1000 달러면 살수 있던 금을 양적 완화 이후에는 1100 달러나 1200 달러를 줘야 살 수 있었다는 것이죠. 하지만 다시 달러 공급을 줄인다면 반대의 현상이 일어나게 될 것입니다. 달러 공급을 줄인다면 미래 금값은 떨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아직 양적 완화 축소를 한 것도 아니고 그 시기만 언급했을 뿐인데 시장 참가자들이 금값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 금을 내다 팔았기 때문에 금값이 다시 폭락한 것입니다. 6월 20일(현지시간) 8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뉴욕상업거래소(NYMEX) 전자거래에서 전 거래일보다 87.80달러(6.39%) 하락한 온스당 1286.20달러를 기록 선물 기준 6% 이상 내려가는 폭락장을 연출했습니다. 금처럼 가치가 안정되어 있는 상품이 하루만에 이렇게 가치가 떨어진다면 폭락이라고 불러도 문제가 없겠죠. 고점 대비로는 이미 30% 이상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여기에 앞으로 금리가 올라간다고 가정할 경우 예금이나 채권등과 달리 이자 수입을 기대할 수 없는 금의 경우 그다지 매력적인 상품이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만약 경기가 빨리 호전되는 경우 안전자산으로의 메리트는 더 떨어지게 됩니다. 안전 자산이란 위기 상황에서만 매력적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UBS 나 소시에테제네랄 등 해외 금융 기관들도 향후 금값 전망을 비관적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버냉키 쇼크 이후 금값 이외에 국제 원자재 가격도 하락했는데 그동안 풀린 유동자금이 여기로 유입되어 가격을 올렸기 때문입니다. 이제 자금줄을 조인다고 하면 가격은 다시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WTI 7월 인도분의 경우 6월 21일 기준 전날 대비 2.84 달러 하락한 배럴당 95.40 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두바이유와 브렌트유 역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금과는 달리 원자재의 경우 본격적으로 경기가 회복되는 경우 실제로 수요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하락세만 탈 것이라고 예상하기는 힘듭니다. 실제 2013 년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가 살아난다면 원자재 수요는 증가할 수 밖에 없지만 문제는 얼마나 살아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현재 중국 경기가 다소 불안한 상태에서 미국은 충분히 회복을 못했고 유럽의 상황은 그다지 좋지 않기 때문에 섣불리 향후 시세를 말하기 힘든 상태입니다.
아무튼 수시로 바뀌는 경제 상황을 고려해보면 한가지 자산에 몰빵하는 일은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순간 자산의 흐름이 바뀔 수도 있는데 일단 잘못하면 큰 손실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이죠. 일정 부분 안전자산을 포함 분산 투자가 답인데 금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 만큼 안전 자산은 아닌 것 같습니다.
참고
http://www.fnnews.com/view?ra=Sent0301m_View&corp=fnnews&arcid=201306240100217670012501&cDateYear=2013&cDateMonth=06&cDateDay=2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20&aid=0002444648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