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truction of Hupehsuchus about to engulf a shoal of shrimps. Credit: Artwork by Shunyi Shu, © Long Cheng, Wuhan Center of China Geological Survey)
(Skulls of Hupehsuchus (left and center) and the minke whale (right) showing similar long snout with narrow, loose bones, indicating attachment of expandable throat pouch. Credit: Zi-Chen Fang et
(New specimens of Hupehsuchus nanchangensis. (A) Photograph of 2020-NYF-84-4. (B) Photograph of WGSC V26007. Scale bar = 5 cm. Credit: BMC Ecology and Evolution (2023). DOI: 10.1186/s12862-023-02143-9)
2억 5200만년 전 페름기 말 대멸종은 역사상 가장 큰 대멸종으로 특히 해양 생물종의 멸종이 심각했습니다. 이 시기 해양 생물종의 거의 95%가 사라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렇세 텅 비어 버린 해양 생태계는 의외로 순식간에 복구됩니다. 다만 이번에는 상대적으로 피해를 덜 본 육지 생태계에서 대거 바다로 진출했다는 점이 특이했습니다. 이 시기 바다로 뛰어든 해양 파충류 중 하나가 중국 후베이에서 1972년 발굴된 후페흐수쿠스 (Hupehsuchus) 입니다.
후페흐수쿠스는 몸길이 1m 정도의 해양 파충류로 같은 시기 물로 들어온 어룡의 조상과 친척 관계로 생각됩니다. 대멸종 뒤 불과 300만년 후인 2억 4800만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생물인데도 이미 바다 생활에 상당히 적응된 형태라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하지만 후페흐수쿠스를 둘러싼 가장 큰 논쟁은 빠른 진화 속도보다 뭘 먹고 살았냐는 것입니다. 후페흐수쿠스의 두개골에서는 이빨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들이 흡입을 하거나 혹은 수염 고래 같은 여과 섭식자일 가능성이 초기부터 제시되었으나 그 구체적인 증거는 없었습니다.
중국 지질 조사국 우한 센터의 지첸 팡 (Zichen Fang of the Wuhan Center of China Geological Survey)이 이끄는 중국 및 영국 연구팀은 후페흐수쿠스의 두개골과 현생 130종에 달하는 해양 생물의 두개골을 비교해 이들이 어떻게 먹고 살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후페흐수쿠스의 두개골은 현생 수염 고래와 유사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물론 수염 자체는 화석화되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연구팀은 수염이 붙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주름과 패인 흔적들을 찾아냈습니다. 이빨이 붙어 있던 흔적 자체가 없다는 점을 생각할 때 이들이 여과 섭식자일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만약 이 주장이 옳다면 대멸종 후 이렇게 짧은 시간에 다양한 방식으로 먹이를 잡는 다양성의 진화가 이뤄졌다는 점이 놀랍기만 합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3-08-whale-filter-feeding-prehistoric-marine-reptile.html
https://phys.org/news/2023-08-discovery-specimens-hupehsuchus-ancient-filter.html
Zi-Chen Fang et al, First filter feeding in the Early Triassic: cranial morphological convergence between Hupehsuchus and baleen whales, BMC Ecology and Evolution (2023). DOI: 10.1186/s12862-023-02143-9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