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국내 언론의 보도는 뜸해졌지만 실제로 2014 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은 시간이 갈수록 더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WHO 의 집계에 의하면 2014 년 9월 17일까지 5,762 명이 감염되고 2,746 명이 사망해서 7월말에 비해서 누적 환자와 사망자 수가 4 배나 증가했습니다. ( http://jjy0501.blogspot.kr/2014/07/West-Africa-Ebola-Outbreak.html 참조)
(2014 년 9월 17일까지 에볼라 출혈열 현황 2014 Ebola virus epidemic in West Africa. Mikael Häggström - Own work, using File:BlankMap-World6.svg (Public Domain))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기니의 현황. 2014 년 9월 17일까지 This is a map of the distribution of the Ebola virus epidemic in Guinea, Liberia, and Sierra Leone as of 14 September 2014. Credit : CDC)
(에볼라 출혈열 누적 발생자와 사망자 http://en.wikipedia.org/wiki/Ebola_virus_epidemic_in_West_Africa#mediaviewer/File:Diseased_Ebola_2014.png )
(에볼라 출혈열 하루 발생자와 사망자 http://en.wikipedia.org/wiki/Ebola_virus_epidemic_in_West_Africa#mediaviewer/File:Deceased_per_day_Ebola_2014.png )
이번 에볼라 출혈열 유행은 비록 다른 국가로 일부 번지긴 했어도 여전히 시에라리온, 기니, 라이베리아가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9월 17일까지 라이베리아는 3,022 명 환자 발생에 1,578 명 사망으로 1 위이며 시에라리온은 1,753 명 환자 발생에 537 명 사망으로 2 위, 기니는 965 명 환자 발생에 623 명 사망으로 3 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3 개국에서 대부분의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나이지리아는 21 명 발생에 8 명 사망. 세네갈은 1 명 발생으로 다행히 주변국으로 크게 확산되는 모습은 아니지만 최근에는 아프리카 내륙의 콩고에서도 독립적인 에볼라 발생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아무튼 지금까지의 추세를 봤을 때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은 좀처럼 수그러질 기세를 보이지 않고 백신이나 치료제의 도입은 아무리 빠르다고 해도 내년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험적인 약물과 백신의 테스트는 진행되고 있으나 기대를 모았던 지맵 같은 실험 약제도 너무 적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해서 효과를 확신하기 힘들고 더 나아가 지금처럼 환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는 치료에 사용할 만큼 의미있는 수량을 갑자기 양산하기도 어려운 상태입니다.
그런데 사실 치료제나 백신보다 더 큰 문제는 새로운 환자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보건 방역과 격리입니다. 이 지역에서 이렇게 에볼라가 창궐할 수 있는 이유는 아직도 문맹률이 높고 주술 치료나 민간 요법에 의존하는 부족들이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에볼라는 대부분 환자의 혈액과 체액을 통해서 감염되는데 철저한 격리를 통해서 확산을 막을 수 있지만 기본적인 격리와 차단마저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이 이들 3 개국에서 에볼라가 갈수록 맹위를 떨치는 이유입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에볼라 차단과 격리가 어렵다고 본 시에라리온 당국은 사상 유래가 없는 에볼라 통행금지를 (Lockdown) 을 18 일에서 21일 사이 시행했는데 아예 아무도 못나오게 금지하고 그 사이 에볼라 희생자의 시신 71 구를 찾아내 매장했다고 합니다. 이는 매장을 통해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극단적 조치였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특히 이 지역에서 장례식을 통해서 전파가 되고 있는데 희생자의 시신을 제대로 방역 조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례를 치르면서 시신을 만졌던 사람들을 중심으로 다시 2 차 전파가 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극단적인 조치가 불가피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다소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에볼라 사태는 앞서 언급했듯이 높은 문맹률 및 열악한 보건 환경으로 인해 멈추지 않고 창궐하고 있는데 이는 이 지역의 낙후된 경제 사정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이들 국가들은 오랜 식민 지배와 잦은 내전, 정치 불안 등으로 인해서 아프리카에서도 가장 가난한 국가들이었는데 이로 인해 보건 및 교육에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지금 같은 고난을 겪고 있습니다. 현지에서는 인도적인 도움을 위해 온 의료진을 불신하는 것은 물론 심지어 손위생을 위한 비누까지 거부하는 황당한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고 서방 언론들은 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 이번 에볼라 사태가 가난으로 인해서 심각해졌다면 다시 에볼라로 인해 이 지역 경제는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라이베리아는 생필품 가격이 150% 로 급등하고 철광석 광산을 운용하는 외국기업들이 철수하는 등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들은 오랜 내전 끝남과 동시에 코코아를 비롯한 천연 자원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2010 년 이후 빠른 경제 성장을 누렸으나 이번 사태로 인해서 상당한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IMF 는 시에라리온의 올해 경제 성장률을 11.3% 에서 8%, 라이베리아는 이전 예상치의 절반인 2.5% 로 기니는 3.5% 에서 2.4% 로 모두 하향 조정했습니다. 미국 CDC 는 내년초까지 에볼라 환자가 55 만명에 육박할 수 있다는 더 불길한 내용의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이를 막기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는데 지난 18 일 에볼라 확산 방지를 위한 UN 결의안이 채택된 이후 다시 국제 지도자들이 모여 대책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또 선진국에서의 지원도 이어지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진행으로 볼 때 빠른 시일내로 에볼라가 퇴치될 것으로 믿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가까운 시일내로 안전성과 효능이 확보된 백신이 개발된다면 에볼라 사태에 극적인 진전이 이뤄지겠지만 그 때까지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에볼라 출혈열로 희생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블러드 다이아몬드 등으로 알려진 내전이 끝나고 새롭게 출발하던 이들 국가들에 다시 엄청난 출혈이 (에볼라 출혈열) 발생한다는 것은 서아프리카의 또 다른 비극일 것입니다. 가능한 빠른 시일내로 이들 국가에 비극이 끝나기를 바라면서 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