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우주 이야기 249 - 악마별의 실체를 보다







 변광성이란 밝기가 변하는 별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한 별 중에 알골 (Algol (Beta Per, β Persei, β Per)) 이 있습니다. 알골은 2일 20 시간 49 분 (2.867 일) 간격으로 밝기가 2.1 등급에서 3.4 까지 변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주성인 알골 A (Algol) 주변을 알골 B (Algol) 가 공전하면서 그 앞을 가리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를 알 수 없었던 고대인들도 이 별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한다는 사실은 알았기 때문에 이 별을 악마의 별 혹은 불길한 별로 여겼습니다. 알골이라는 뜻은 아라비아어의 라스 알 굴 (رأس الغول ra's al-ghūl), 즉 구울 (악귀) 의 머리라는 단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영어로는 악마의 별 (Demon Star) 라고 번역 되어 왔습니다. 히브리어에서는 사탄의 머리 (Rōsh ha Sāṭān) 라는 명칭으로도 불렸고 라틴어로는 유령의 머리 (Caput Larvae or "the Spectre's Head") 등 비슷한 의미의 뜻으로 불렸는데 이는 이 별이 페르세우스 자리에서 메두사의 머리에 해당하는 부위에 있는 것과 관계가 있습니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알골이 매우 독특한 삼성계 시스템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가장 큰 별인 알골 A 는 태양 질량의 3.59 배 정도 되는 별로 지름은 태양의 4.13 배, 밝기는 태양의 98 배에 달하며 분광형은 B8V 입니다. 알골 A 주변을 공전하는 동반성 알골 B 는 이보다 훨씬 작은 별로 태양질량의 0.79 배 정도 질량인데 지름은 태양의 3 배, 밝기는 3.4 배에 달합니다. (분광형은 K0IV) 알골 A 의 표면 온도는 9200 K 지만 알골 B 의 표면온도는 4500 K 정도로 낮고 밝기 또한 낮기 때문에 지구에서 봤을 때 알골 B 가 알골 A 앞을 지나면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알골 B 의 존재는 처음에 천문학자들을 당혹시켰습니다. 왜냐하면 이 별은 이미 준거성 단계에 접어들어 부풀어 오른 별이기 때문이죠. 질량은 태양보다 작은데 크기는 태양보다 더 큰 이유는 여기에서 비롯됩니다. 그런데 질량이 더 큰 동반성 A 는 아직 주계열성 단계인데 왜 질량이 작은 B 가 먼저 준거성이 된 것일까요 ?  


 여기에 대한 가장 그럴 듯한 답변은 알골 B 가 부풀어오르면서 매우 가까운 거리에 공전하고 있는 알골 A 에게 대부분의 물질을 빼앗겼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본래는 두개의 별 가운데 알골 B 가 더 질량이 큰쪽으로 연료를 대부분 소진시키고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는 단계인 준 거성 단계에 이르렀는데 그렇게 되자 불과 0.062 AU (약 930 만 km) 거리에서 공전하는 알골 A 가 알골 B 의 가스를 흡수해 거대해지는 현상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Algol B orbits Algol A. This animation was assembled from 55 images of the CHARA interferometer in the near-infrared H-band, sorted according to orbital phase. Because some phases are poorly covered, B jumps at some points along its path.

Algol (β Persei) is a triple-star system (Algol A, B, and C) in the constellation Perseus, in which the large and bright primary Algol A is regularly eclipsed by the dimmer Algol B every 2.87 days. The eclipsing binary pair is separated by only 0.062 astronomical units (AU) from each other, so close in fact that Algol A is slowly consuming the less massive Algol B by continually stripping off Algol B's outer layers. This animation was assembled from 55 images of the CHARA interferometer in the near-infrared H-band, sorted according to orbital phase. Because some phases are poorly covered, B jumps at some points along its path. The phase of each image is indicated at the lower left. The images vary in quality, but the best have a resolution of 0.5 milliarcseconds, or approximately 200 times better than the Hubble Space Telescope. (A milliarcsecond is about the size of a quarter atop the Eiffel Tower as seen from New York City.) Tidal distortions of Algol B giving it an elongated appearance are readily apparent. Tidal distortions also result in "gravity darkening" effects, whereby in a significant number of images of Algol B, the edge or "limb" of the image is actually brighter than the center. (Baron et al., 2012)   Credit : 
Dr. Fabien Baro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CC BY-SA 3.0)   


 알골 A/B 는 지구에서 약 92.8 광년 떨어져 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B 가 A 앞을 가리는 영상을 직접 디테일하게 확인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2012 년 카라 간섭계 (CHARA interferometer) 를 이용해 근적외선 H - 밴드 이미지를 통해서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것보다 200 배나 높은 해상도로 적외선 이미지를 얻는 데 성공했습니다.   


 위의 사진은 55 장의 이미지를 합친 것으로 이제는 낮은 밀도의 가스 덩어리인 알골 B 가 알골 A 를 지나면서 상호 중력에 의해서 모습이 변하는 것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래 더 질량이 큰 알골 B는 부풀어 오르면서 외곽 가스를 잡아두는데 실패했고 이 가스들은 가까이 있는 동반성으로 대부분 흡수된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에서는 알골 B 의 외곽 부분이 오히려 더 두껍게 나타나는 현상도 보이는데 이는 알골 A 의 중력에 알골 B 의 가스가 아직도 끌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구에서 이렇게 멀리 떨어진 쌍성계의 공전 모습을 실시간으로 추적이 가능한 것은 놀라운 일이라고 하겠습니다.  


 지금까지는 알골 A/B 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사실 알골은 삼성계입니다. 두 별로부터 2.69 AU 떨어진 지점에는 또 다른 주계열성인 알골 C 가 있습니다. 알골 C 는 태양 질량의 1.67 배에 달하는 별로써 지름은 0.9 배, 밝기는 4.1 배에 달하는 별입니다. 알골 C 는 681일을 주기로 알골 A/B 를 공전하며 위치상 서로 가리는 식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알골 A/B 와 알골 C 의 이미지   Algol triple star system imaged with the CHARA interferometer. The Algol system as it appeared on 12 August 2009. This is not an artistic representation, but rather is a true two-dimensional image with 1/2 milli-arcsecond resolution in the near-infrared H-band, reconstructed from data of the CHARA interferometer. The elongated appearance of Algol B and the round appearance of Algol A are real. The form of Algol C, however, is an artifact. Credit : Dr. Fabien Baro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CC BY-SA 3.0)    


 알골에 대해서 한가지 더 흥미로운 사실은 이 별이 730 만년 전에는 태양에서 9.8 광년 떨어진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는 것입니다. 당시 이 별의 겉보기 등급은 - 2.5 으로 지금의 시리우스 수준을 밝게 빛났을 것입니다. 당시 위치와 질량으로 보건대 일부 학자들은 알골이 오르트 구름에도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무튼 메두사의 머리 부분에 위치한 별답게 여러가지 재미있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알골 시스템이라고 하겠습니다.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