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ic reconstruction of the terrestrial ecological landscape before the end Permian mass extinction based on fossil palynomorphs, plants , and tetrapods recovered, as well as sedimentological data from the South Taodonggou Section. Credit: Yang Dinghua)
(Artistic reconstruction of the terrestrial ecological landscape at the onset of end Permian mass extinction based on fossil palynomorphs, plants, and tetrapods recovered, as well as sedimentological data from the South Taodonggou Section. Credit: Yang Dinghua)
페름기 말 대멸종은 모든 멸종의 어머니로 불릴 만큼 규모가 남다른 대규모 멸종 사건이었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생물상이 확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고생대와 중생대를 구분하는 기준선이 되고 있습니다.
2억 5200만년 전 지구 해양 생물의 80%가 한꺼번에 사라진 사건은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를 통틀어 5억 년이 넘는 세월 동안 한 번 밖에 없었던 일입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육상 생태계는 피해가 덜한 편이었는데, 그 이유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중국 과학 학술원의 난징 지질학 및 고생물학 연구소의 리우 펭 겨수 (Prof. Liu Feng, from the Nanjing Institute of Geology and Paleontology (NIGPAS)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가 이끄는 연구팀은 페름기와 트라이아스기의 격변기에 생명의 오아시스 역할을 했던 장소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페름기말에서 트라아이스기 초기로 넘어가는 시대에 있었던 지층이 있는 중국 신장 자치구 남 타오동구 (South Taodonggou section in Xinjiang) 지역에서 그 증거를 찾아냈습니다.
대멸종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아직도 확실히 모르지만, 이 시기 활발한 화산 활동 및 용암 분출에 의해 지구 기온이 급격히 상승한 것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어 왔습니다. 그 결과 지구 육지 대부분 지역이 건조한 사막이 되면서 많은 생명체가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타오동구 지층에서 페름기 마지막 16만년과 트라이아스기 초기 16만년 동안 날렸던 식물의 꽃가루와 양치식물의 포자를 분석해 이 지역이 그렇게 건조한 지역이 아니었고 다양한 식물과 동물이 생존할 수 있는 지역이었다는 증거를 찾아냈습니다. 이 주장은 추가적으로 발견된 양치 식물의 줄기 화석을 통해 입증됐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지역은 대멸종 전후 시기에도 연간 1000mm 정도의 비가 내려 식물이 살 수 있어고 당시 식물의 다양성도 21% 정도 밖에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덕분에 트라이아스기 초기를 대표하는 수궁류 초식 동물인 리스트로사우루스 (Lystrosaurus)나 육식동물인 크로니오수쿠스 chroniosuchians 같은 큰 동물도 살아남아 대멸종 직후 7.5민년 시기에 여기저기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입니다.
왜 이 지역만 사막화가 이뤄지지 않았는지는 모르지만, 대멸종기에 오아시스라고 하니 뭔가 영화 매드맥스가 생각나는 설정 같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5-03-terrestrial-life-oasis-permian-mass.html
Huiping Peng et al, Refugium amidst ruins: unearthing the lost flora that escaped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Science Advances (2025). DOI: 10.1126/sciadv.ads5614. 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s5614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