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rtist's interpretation of a baby mosasaur emerging from an egg just moments after it was laid. The scene is set in the shallow waters of Late Cretaceous Antarctica. In the background, mountains are covered in vegetation due to a warm climate. In the upper right, an alternative hypothesis for egg laying is depicted, with the mosasaur laying an egg on the beach. Credit: John Maisano/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Jackson School of Geosciences)
(A diagram showing the fossil egg, its parts and relative size. The giant egg has a soft shell. This is shown in dark gray in the drawing, with arrows pointing to its folds and surrounding sediment shown as light gray. The cross section (lower left insert) shows that the egg consists mostly of a soft membrane surrounded by a very thin outer shell. Silhouettes on the lower right show the size of the egg relative to an adult human. Credit: Legendre et al. (2020))
(An artist's interpretation of a baby mosasaur hatching from an egg in the Antarctic sea. The mother is visible in the background. The egg is on the sea floor. Credit: Francisco Hueichaleo, 2020.)
2011년 칠레 과학자들은 남극에서 미스터리한 화석을 발견했습니다. 마치 바람 빠진 축구공처럼 생긴 이 화석의 정체는 알 수 없었지만, 과학자들은 나중에 이를 분석하기 위해 이를 칠레 국립 자연사 박물관(Chile's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으로 가져왔습니다. 이 정체 불명의 화석은 영화 제목에서 따 더 씽 (The Thing)이라는 별명이 붙었습니다.
더 씽의 정체는 2018년 칠레 자연사 박물관을 방문한 텍사스 대학의 줄리아 클라크 교수 (Julia Clarke, a professor in the Jackson School's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에 의해 밝혀집니다. 그녀는 이 화석을 보자마자 몇 분만에 새끼가 빠져나간 알이라는 사실을 알아챘습니다. 그러나 선뜻 이런 해석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이유는 그 크기에 있습니다. 이 알 화석은 길이가 30cm에 달해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가운데 두 번째로 크며 가죽 같은 부드러운 외피를 지닌 알 (soft-shell egg, 연각란) 가운데 가장 컸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큰 알을 낳을 수 있는 동물은 많지 않습니다. 문제의 알 화석은 바다 지층에서 발견되었고 시기가 백악기 말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동물은 해양 파충류인 모사사우루스입니다. 텍사스 대학의 루카스 레전드레 (Lucas Legendre, a postdoctoral researcher at UT Austin's Jackson School of Geosciences)가 이끄는 연구팀은 알 화석을 상세히 분석해서 이 화석이 분명히 가죽 같은 부드러운 껍질을 가진 알이라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 알은 분명히 도마뱀이나 뱀과 비슷한 파충류의 것이었습니다. 공룡은 대부분 조류처럼 단단한 알을 낳기 때문에 당연히 대상이 아니고 결국 뱀류와 근연 관계인 모사사우루스가 가장 가능성 높은 후보입니다.
문제는 모사사우루스가 어룡이나 수장룡처럼 알 대신 새끼를 낳는 파충류라고 알려져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수중 생활에 적응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사실 그렇다고 해서 어룡처럼 실제로 새끼를 품거나 새끼를 낳다가 죽은 화석이 발견된 것도 아니라서 이번 발견이 상당한 논쟁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이 알이 모사사우루스의 것이라는 증거도 확실치는 않습니다. 알과 함께 새끼나 태아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다만 근처 지층에서 새끼 모사사우루스와 성체의 화석이 함께 나왔기 때문에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습니다.
만약 모사사우루스가 맞다면 이 알의 어미는 꼬리를 제외한 길이만 6미터가 넘는 대형 모사사우루스였을 것입니다. 이 지역은 당시 얕은 바다로 새끼 모사사우루스가 생존하기에 적합한 안전한 장소였을 것입니다. 다만 모사사우루스가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해양 파충류의 것이라면 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될 것입니다.
참고
A giant soft-shelled egg from the Late Cretaceous of Antarctica, Nature (2020). DOI: 10.1038/s41586-020-2377-7 , www.nature.com/articles/s41586-020-2377-7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