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우주 이야기 276 - 저 멀리 탄생하는 또 다른 태양계


 
  천문학자들은 최근 외계 행성은 물론이고 새롭게 태어나는 행성계들에 대해서 매우 많은 관측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지기로 행성들은 원시 행성계 원반 (protoplanetary disc) 에서 태어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원시 별 주변의 가스와 먼지들은 중력에 의해 이제 막 태어난 별의 주변을 돌게 되는데 마치 고리나 원반 같은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 먼지와 가스들은 상호간의 중력에 의해 뭉쳐져서 더 큰 천체로 진화하게 됩니다.
 이는 오래전부터 교과서에 실렸던 가설이었지만 최근 과학자들은 발달된 관측 기술 덕분에 이제는 실제 관측을 통해서 이를 입증하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물론 기존의 이론으로는 알 수 없었던 행성계의 탄생에 대한 여러가지 사실들도 새롭게 알게 되었죠. 이는 우리 태양계가 어떻게 생성되었는지에 대한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우주에 태양계 같은 행성계가 얼마나 흔한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애리조나 대학의 케이트 수 (Kate Su, an associate astronomer at the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와 그녀의 동료들은 지구에서 대략 295 광년 정도 떨어진 HD 95086 라는 새로 생긴 별 주변에서 이런 원시 행성들이 생성되는 장면을 목격했습니다. 그들은 허셜 우주 망원경 및 스피처 우주 망원경 데이터를 이용해서 이 원시 행성계가 사실 두개의 벨트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HD 95086 는 안쪽에 뜨거운 가스/먼지 벨트와 외부의 차가운 벨트 두가지를 가지고 있으며 그 사이 공간이 비어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 구조가 크기의 차이만 있을 뿐 우리 태양계의 생성 초기에 일어난 것과 비슷한 구조라고 믿고 있습니다. 우리의 태양계의 경우 두개의 벨트 (소행성대와 카이퍼벨트) 사이에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존재합니다. 어쩌면 이 행성계도 비슷한 상황일 수 있습니다. 

(두개의 벨트 사이에 형성 중이 행성들의 아티스트 컨셉 이미지 This artist's concept depicts giant planets circling between belts of dust. Scientists think the star system HD 95068 may have a planetary architecture similar to this. While the star system's two dust belts are known, along with one massive planet, more giant planets may lurk unseen.
Image Credit: 
NASA/JPL-Caltech  
 
 
 이 내용은 위의 이미지에 표현되어 있는데 두개의 벨트 사이에 놓인 빈 공간은 사실 행성들이 이미 형성되어 가스와 먼지가 거의 사라진 상태입니다. 이 이미지에서는 이 행성들이 미래의 목성과 토성 같은 행성이 될 예정으로 주변에서 위성들을 형성하는 고리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연구 이전인 2012 년에 허셜 망원경 이미지를 통해서 HD 95068 가 외계 행성 HD 95068b 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습니다. 이번 결과까지 종합해 본다면 이 외계 행성은 바깥쪽에 있는 차가운 벨트 안쪽을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공전 위치는 대략 56-61 AU (즉 태양 - 해왕성의 1.5 배 수준) 정도인데 질량의 목성의 5.0 ± 2.0 배 정도입니다. 
 
 
 꽤 멀리 떨어진 외계 행성이지만 허셜 우주 망원경으로 직접 이미지를 얻는데 성공했는데 그 이유는 생긴지 얼마 안되는 뜨거운 행성이라 적외선 영역에서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일단 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이라면 관측이 용이할 수 밖에 없죠. 
 
 
 
(HD 95086 b 및 HD 8799 의 이미지  This diagram illustrates two similar star systems, HD 95086 and HR 8799. Evidence from NASA's Spitzer Space Telescope has pointed to the presence of two dust belts in each system: warm, inner belts similar to our solar system's asteroid belt, and cool, outer belts like our Kuiper belt of icy comets.
Image Credit: NASA/JPL-Caltech )
   ​


(HD 95086b 의 직접 이미지 (direct image). 중앙의 별은 모성 HD 95086 이며 푸른색 원은 태양계에서 해왕성 궤도. 왼쪽 아래의 파란 점이 HD 95086b.  This image from ESO's Very Large Telescope (VLT) shows the newly discovered planet HD 95086 b, next to its parent star. The observations were made using NACO, the adaptative optics instrument for the VLT in infrared light, and using a technique called differential imaging, which improves the contrast between the planet and its dazzling host star. The star itself has been removed from the picture during processing to enhance the view of the faint exoplanet and its position is marked. The exoplanet appears at the lower left.
The blue circle is the size of the orbit of Neptune in the Solar System.  Credit : ESO/J. Rameau)
  사실 천문학자들은 이전에도 비슷한 시스템을 발견한 바 있습니다. HD 8799 ( http://jjy0501.blogspot.kr/2013/03/147-hr-8799.html  참조) 가 그 시스템으로 두개의 디스크 안에 여러개의 행성이 존재합니다. HD 8799 쪽이 태양계와 더 닮은 모습이라고 할 수 있지만 HD 95086 시스템도 현재 안쪽에서 다른 행성들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것은 생성되는 행성계 입니다. 서로 다른 생성 조건을 비교하므로써 우리는 태양계와 다른 행성계가 어떤 메카니즘으로 형성되는지 알 수 있는 것은 물론 먼 미래 인류의 외계 행성 탐사의 목표를 훨씬 수월하게 찾을 수 도 있을 것입니다. 아마도 미래에는 인류가 살기 적합한 행성을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서 발견할 지도 모르는 일이죠.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R 스튜디오 설치 및 업데이트

 R을 설치한 후 기본으로 제공되는 R 콘솔창에서 코드를 입력해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그렇게 하기 보다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R 개발환경인 R 스튜디오가 널리 사용됩니다. 오픈 소스 무료 버전의 R 스튜디오는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며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R을 위한 IDE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www.rstudio.com/  다운로드 R 이나 혹은 Powerful IDE for R로 들어가 일반 사용자 버전을 받습니다. 오픈 소스 버전과 상업용 버전, 그리고 데스크탑 버전과 서버 버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오픈 소스 버전에 데스크탑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상업 버전의 경우 데스크탑 버전의 경우 년간 995달러, 서버 버전은 9995달러를 받고 여러 가지 기술 지원 및 자문을 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버전을 설치하는 과정은 매우 쉽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인스톨은 윈도우, 맥, 리눅스 (우분투/페도라)에 따라 설치 파일이 나뉘지만 설치가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이라면 R은 사전에 반드시 따로 설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R 스튜디오만 단독 설치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죠.   설치된 R 스튜디오는 자동으로 업데이틀 체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R 스튜디오에서 Help 로 들어가 업데이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업데이트 할 내용이 없다면 최신 버전이라고 알려줄 것이고 업데이트가 있다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R의 업데이트와 R 스튜디오의 업데이트는 모두 개별적이며 앞서 설명했듯이 R 업데이트는 사실 기존 버전과 병행해서 새로운 버전을 새롭게 설치하는 것입니다. R 스튜디오는 실제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기 때문에 구버전을 지워줄 필요는

R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 오류 (1)

 R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 하다보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 경우 아예 R을 재설치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렇게해도 해결이 안되고 계속해서 사용자는 괴롭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중 하나를 소개합니다.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 혹은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서 같이 설치하는 패키지 중 하나가 설치가 되지 않는다는 메세지가 계속 나왔는데, 사실은 백신 프로그램 때문이었던 경우입니다.   dplyr 패키지를 업데이트 하려고 했는데, 제대로 되지 않아 다시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일부 패키지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는다는 메세지가 나왔습니다.  > install.packages("dplyr") Error in install.packages : Updating loaded packages > install.packages("dplyr") Installing package into ‘C:/Users/jjy05_000/Documents/R/win-library/3.4’ (as ‘lib’ is unspecified) also installing the dependencies ‘bindr’, ‘bindrcpp’, ‘Rcpp’, ‘rlang’, ‘plogr’ trying URL ' https://cran.rstudio.com/bin/windows/contrib/3.4/bindr_0.1.1.zip ' Content type 'application/zip' length 15285 bytes (14 KB) downloaded 14 KB trying URL ' https://cran.rstudio.com/bin/windows/contrib/3.4/bindrcpp_0.2.2.zip ' Content type 'application/zip' length 620344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