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 1. Estimates of the biomass of fish and other consumers in the ocean.We include both (A) the biomass originally reported in the papers and (B) an estimate of the same biomass rescaled to the range between 1 g and 1000 kg, a typical range for marine fish and other consumers, applying a conversion factor based on size-spectrum theory, as described in section S1. Note that, going from (A) to (B), biomass estimates could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whether the original size range is smaller or larger than 1 g and 1000 kg, respectively. The complete list of values and the corresponding references are listed in table S1. The values reported as “this work” (highlighted in red) reflect fish biomass in the absence of fishing. Note the logarithmic scale on the vertical axis. Credit: DOI: 10.1126/sciadv.abd7554)
인류가 지구를 자신의 목적에 맞게 개조하고 많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급격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구 기온 역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인류와 지구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변화에 기여하는 의외의 요인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해양 어류의 배설물입니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다니엘 비앙키(Daniele Bianchi, Department of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s, University of California)가 이끄는 연구팀은 상업적 어업에 의해 줄어든 어류 생물량이 지구 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어류들의 먹이는 매우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 식물성 해양 플랑크톤부터 시작되는 먹이 사슬이 피라미드형으로 올라간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무거운 배설물의 행태로 탄소를 침전시켜 바다 밑바닥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바다가 대기 중에서 흡수한 이산화탄소는 결국 대기 중 산화탄소와 균형을 맞추게 되지만, 식물성 플랑크톤이 흡수한 탄소는 결국 먹이 사슬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점차 바다 밑바닥으로 가라앉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20세기 초반부터 최근까지 데이터를 분석해 20세기에 일어난 변화를 추정하는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1990년말에는 1900과 비교해서 해양 어류의 바이오매스가 4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이 매년 섭취하는 유기물은 지구 전체의 2% 정도이지만, 축적되는 배설물의 양이 상당하므로 탄소 순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물론 현재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는 대부분 인류의 직접 배출이 원인이지만, 어류가 줄어든 것은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줄여 더 심각한 상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지구 생태계의 자정 능력을 활용하고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해서라도 무분별한 남획은 중지되어야 합니다.
참고
Daniele Bianchi, Estimating global biomass and biogeochemical cycling of marine fish with and without fishing, Science Advances (2021). DOI: 10.1126/sciadv.abd7554. www.science.org/doi/10.1126/sciadv.abd7554
https://phys.org/news/2021-10-fish-fecal-carbon-sequestering-ocean.html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bd7554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