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dit: Pixabay/CC0 Public Domain)
호미닌의 뇌는 인간으로 가까이 오면서 점점 더 커졌습니다. 현생 인류의 경우 비슷한 크기의 포유류 가운데 거의 비정상적으로 큰 뇌를 지니고 있는데, 뇌가 상당히 많은 자원을 소모하는 장기라는 점을 생각하면 모든 동물들 가운데 가장 독특한 경우입니다.
하지만 인간의 뇌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또 다른 놀라운 비밀이 숨겨져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최근에는 인간의 뇌가 약간 크기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입니다. 이 미스터리한 사건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다트머스 대학의 제레미 데실바 박사 (Dr. Jeremy DeSilva, from Dartmouth College)가 이끄는 연구팀은 985개의 화석 혹은 현생 인류의 두개골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인간의 뇌 크기가 줄어든 건 생각보다 최근인 3000년 정도라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문명화가 진행된 3000년 전부터 작은 뇌가 더 생존에 유리해졌다는 이야기는 당혹스럽지만, 연구팀은 개미의 진화가 이 미스터리를 풀 단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개미의 경우 사회성을 진화시키면서 오히려 뇌의 크기는 조금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사회성에 필요한 신호 전달 및 행동 같은 부분이 뇌의 크기를 증가시킬 것 같지만, 사실은 여러 개체가 서로 의존하면서 개별 플레이를 하지 않기 때문에 뇌의 크기가 조금 줄어드는 것입니다.
동시에 혼자 모든 것을 다하는 일반적인 곤충에서 병정 개미나 일개미처럼 특화된 일을 하는 곤충이 되면서 뇌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그 임무에 효율적인 구조를 지니는 현상도 나타납니다. 특히 여왕 개미의 경우 알을 낳는 것 빼고 별로 하는 일이 없어 더 작은 뇌를 지니게 됩니다.
이전 포스트: https://blog.naver.com/jjy0501/222314809319
연구팀은 인간이 사회화가 진행되면서 비슷한 일이 일어났다고 보고 있습니다. 예측하기 힘든 자연 환경에서 소수의 사람이 무리 짓는 것보다 다수의 사람이 농경 문화를 영위하게 되면 미래를 예측하기도 쉬워지고 자신이 하던 일만 반복하게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개인이 생존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지니지 않아도 여러 사람의 도움을 받아 집단 지성을 이루게 되면 지식의 양도 더 커지고 안정적으로 보존될 수 있습니다. 다만 뇌의 크기가 줄어들었다고 해서 효율성도 떨어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인간의 지능이 약간 쇠퇴했다고 보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직은 연구팀의 주장도 다양한 가설 중 하나일 뿐입니다. 사회화가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은 상당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농경 생활이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육류 섭취량이 줄어든 것은 큰 뇌를 발달시키고 유지하는데 불리한 조건이고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흉작이나 기근에서 살아남기 유리한 쪽은 뇌가 작아서 기초 대사량이 적은 쪽이기 때문입니다. 과연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지만, 원시인이 현대인보다 지능이 떨어질 것이라는 일반적인 편견을 뒤집는 내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1-10-human-brains-decrease-size-years.html
Jeremy DeSilva et al, When and Why Did Human Brains Decrease in Size? A New Change-Point Analysis and Insights from Brain Evolution in Ants, 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 (2021). DOI: 10.3389/fevo.2021.742639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