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포스팅에서 우리 나라 당류 섭취 기준이 총당류 기준으로 전체 열량의 10~20%, 첨가당 기준으로 전체 열량의 10%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제 책인 과학으로 먹는 3대 영양소에서 설명한 바 있습니다.
한국인의 평균 당류 섭취는 현재 여기에 부합하는 수준입니다. 이는 미국 등 일부 선진국에 비해서 가공 식품 및 패스트푸드 섭취가 적고 채식 위주의 식단을 지닌 한국인의 특성 때문입니다. 하지만 식생활 서구화와 함께 가공 식품 섭취가 늘어나면서 소아 청소년, 청년 층을 중심으로 점차 총당류는 물론 첨가당 섭취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당류는 단맛이 나는 단순한 탄수화물로 주로 과당 같은 단당류와 설탕 같은 이당류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첨가당은 본래 식품에 들어있지 않은 당류로 가공식품에 첨가하는 당류를 이야기합니다. 대표적으로 탄산 음료에 들어가는 액상과당이 있습니다.)
2016년 식품의약품 안전처는 보도자료를 내고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제 1차 당류 저감 종합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 계획은
◈ 당류 줄이기 목표 : 우리 국민의 당류 적정 섭취 유도
- ‘20년까지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1일 열량의 10% 이내로 관리
- 하루에 총 2,000kcal를 섭취하는 성인의 경우 200kcal (당으로 환산 시 50g)
추진전략Ⅰ 국민 개개인의 식습관 개선 및 인식 개선
- 어린이·청소년 대상 당류 줄이기 교육을 강화하는 등 당류 적게 먹기 국민 실천
운동 확대
- 개인 영양관리 스마트폰 앱인 ‘칼로리코디’를 제공하는 등 개인 맞춤형 당류 섭취량
관리 지원
추진전략Ⅱ 당류를 줄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영양표시 대상 식품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가공식품에 당류의 ‘%영양성분 기준
치’ 표시를 의무화
- 식품 산업체에 당류 저감 기술을 개발·보급하고, 식품별 당류 줄이기 목표와 연도
별 가이드라인을 제시
- 가정·급식소와 외식업체에 당류를 줄일 수 있는 조리법과 메뉴를 개발 지원
- 어린이·청소년 대상 당류 함량 높은 식품의 판매제한 확대
추진전략Ⅲ 당류 줄이기 추진기반 구축
- 당류 섭취량과 만성질환과의 관련성 등에 대한 연구 실시
- 식품에 들어있는 당류 함량을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DB 구축
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최근 3세에서 29세 사이 인구 집단에서 대부분 첨가당인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 비중이 권고량인 10% 이내를 넘어서기 때문입니다.
(출처: 식품의약품 안전처)
흥미로운 사실은 전체적으로 가공 식품 섭취가 증가하면서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점차 당류 섭취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단순히 식생활 서구화 뿐만이 아니라 1인 가구 증가 같은 다른 요인도 같이 자리잡고 있는 것 같습니다. 혼자 사는 사람의 비중이 늘수록 집에서 요리를 해먹기 보다는 간편 조리식이나 가공식품, 패스트푸드 섭취 비중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시간이 흐르면서 식생활이 서구화된 세대가 나이가 들어 보다 나이든 세대로 당류 섭취 증가가 전이되는 효과도 있습니다.
아무튼 이와 같은 식생활 습관은 앞서 언급한 빈 칼로리 문제만 일으키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먹을 게 넘치는 시대에는 영양 결핍보다 과잉이 더 문제입니다. 다시 말해 전체 칼로리 섭취가 증가하면서 당뇨, 고혈압, 대사 증후군 등 여러 만성 질환의 위험도가 증가하고 더 장기적으로 심혈관 질환 및 전체 사망률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것입니다.
국가적 당류 저감 계획을 추진하는 배경과 10%라는 권고안이 나온 배경에 대해서는 제 책에서 이미 다룬 내용이지만, 더 흥미로운 부분은 기준치인 10%가 넘는 첨가당을 섭취하는 사람은 이미 우리 나라에서 드물지 않다는 것입니다.
(출처: 식품의약품 안전처)
2013년 조사에서 전체 조사 대상자의 1/3인 34%가 전체 열량 섭취에서 10% 이상을 가공 식품에서 얻는 당류, 즉 첨가당으로부터 얻고 있습니다. 더구나 6-11세에서는 47.6%, 19-29세 사이에는 47.7%가 기준치를 넘고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보다 첨가당 섭취가 많은 가장 중요한 이유는 음료수 (탄산 음료는 말할 것도 없고 설탕이나 액상 과당이 들어간 다양한 음료가 존재)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빵/과자/떡류, 설탕 및 기타 당류, 면류 등 기타 가공식품, 가공우유 및 발효유, 아이스크림 및 빙과류 순입니다.
(출처: 식품의약품 안전처)
흥미로운 사실은 음료수 가운데서 1-5세는 과일/채소 음료, 6-29세는 탄산음료, 30세 이상은 커피를 통해 당을 가장 많이 섭취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가당 음료 = 탄산음료라는 편견을 깨는 결과입니다.
2007년에서 2013년 사이 국민 건강 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면 가공 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가 총열량의 10%가 넘는 경우 비만의 오즈비 (ORs) 값은 1.39 (95% CI 1.32-1.47) 고혈압 1.66 (1.57 - 1.75), 의사가 진단한 당뇨병 1.41 (1.33 - 1.49)로 한국인에서 첨가당 섭취가 10%를 넘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비만의 가능성이 39%, 고혈압의 가능성이 66%, 당뇨병의 가능성이 4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시 말해 가공식품과 당류 섭취 증가가 건강에 상당히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이것 자체도 문제지만, 점차 가공식품 및 첨가당의 섭취 비중이 올라가는 것도 문제입니다. 이는 단순히 식생활 서구화 뿐만이 아니라 1인 가구 증가, 맞벌이 증가, 그리고 과도한 학업 및 근로 시간 등 여러 가지 이유가 같이 겹쳐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실 대부분의 경우 건강에 좋다고 생각하고 가공식품을 섭취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제대로 식사를 하기 어려워지는 바쁜 삶이 더 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물론 끊임없는 광고를 통해서 우리가 세뇌를 당하는 부분도 있지만 말이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