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kull of RV 2039, a hunter-gatherer buried in Latvia around 5,000 years ago. Credit: Dominik Göldner, BGAEU, Berlin)
(The jawbone of RV 2039. Credit: Dominik Göldner, BGAEU, Berlin)
인류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 중에 하나로 손색이 없는 질병이 바로 페스트입니다. 페스트를 일으키는 페스트균 (Yersinia pestis)은 자연 상태에서는 주로 설치류가 숙주로 이 설치류에 기생하는 벼룩이 벡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고 쥐가 창궐했던 고대와 중세 도시를 중심으로 페스트가 유행했지만, 사람 간 감염도 가능한 질병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페스트균이 언제부터 이런 특성을 지니게 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았습니다.
독일 킬 대학의 줄리안 슈사트 (Julian Susat, Institute of Clinical Molecular Biology, Kiel University)이 이끄는 과학자팀은 19세기 라트비아에서 발견된 5000년 전 선사시대 유럽인의 유골인 RV 2039에서 가장 오래된 페스트균의 흔적을 찾아냈습니다.
물론 이런 오랜 시간 동안 페스트균 자체가 살아남은 것은 아니지만, 연구팀은 이빨과 뼈에서 페스트균의 DNA를 분리하는데 성공해 유전자를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5000년 전만해도 페스트균이 그렇게 치명적인 세균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물론 RV 2039 유골의 주인공은 20-30대의 건장한 남성으로 사인은 아마도 세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으로 생각되나 같이 매장된 다른 유골에는 페스트의 증거가 없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당시 페스트균이 전염력이 그다지 크지 않았다는 이야기입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역시 벼룩을 통한 전파에 필요한 유전자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따라서 설치류에서 우연히 사람에 감염될 순 있어도 강력한 전염성을 지니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를 토대로 페스트균이 사람으로 전파된 것은 대략 7000년 전이었으며 순차적으로 사람 간 전파 능력과 벼룩에 대한 전파 능력을 획득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리고 인류에게 엄청난 재앙이 된 전염병으로 발전한 셈입니다.
하지만 결국 인류는 페스트를 극복했습니다. 지금 코로나 19보다 더 많은 희생자를 만든 스페인 독감이나 제 2의 페스트라는 별명이 붙은 에이즈도 마찬가지입니다. 코로나 19 역시 결국 극복해낼 것입니다.
참고
https://newatlas.com/science/earliest-strain-plague-5000-year-old/
https://www.cell.com/action/showPdf?pii=S2211-1247%2821%2900645-8
https://en.wikipedia.org/wiki/Yersinia_pestis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