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ic depiction of the tyrannosaur Nanuqsaurus with its young. Credit: James Havens)
(Perinatal (baby) dinosaur bones and teeth from the Prince Creek Formation, northern Alaska (penny is 19 mm in diameter). Credit: Patrick Druckenmiller)
공룡이 완전한 온혈동물이었는지 아니면 큰 몸집을 이용해 체온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는 반온혈 동물이었는지는 아직도 논쟁이 있지만, 공룡이 생각보다 추운 기후에 적응해 살았다는 사실은 분명합니다. 현재의 북극과 남극권에 해당하는 지역에서도 공룡 화석들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성체가 이동한 것인지 아니면 본래 새끼때부터 살았는지는 확실치 않았습니다.
알래스카 대학의 패트릭 드러켄밀러 (Patrick Druckenmiller of the University of Alaska Museum of the North)가 이끄는 연구팀은 알래스카 북쪽에 있는 콜빌 (Colville) 강 유역에서 2011년부터 지층을 파내 북극권에 살았던 고대 생물들을 연구해왔습니다. 10년에 걸친 고난의 발굴 끝에 연구팀은 수백 개의 아기 공룡뼈를 발견했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는 알에서 깨어난지 얼마 되지 않거나 혹은 아예 알 속에서 나오지도 못했을 태아였습니다. (사진)
이 화석의 주인들은 하드로사우루스류 (hadrosaurids, duck-billed dinosaurs), 케라톱스류 (ceratopsians, horned dinosaurs and leptoceratopsians), 4족 보행 초식 공룡인 테스켈로사우루스 (thescelosaurs), 타라노사우루스 (tyrannosaurs), 트로돈티드 (troodontids), 드로마에오사우루스 (dromaeosaurs)로 최소 7가지 종류의 새끼 공룡 무리였습니다. 하나도 아니고 이렇게 여러 종의 공룡이 같은 지역에서 발굴된다는 것은 당시 알래스카 북부에 수많은 공룡들이 살 수 있는 풍요로운 생태계가 존재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백악기 후기인 7000만년 전에는 이 지역이 지금보다 따뜻한 기후였음을 시사하는 증거입니다.
하지만 지금보다 지구 기온이 높았던 시기에도 북부 알래스카는 북극권에 속해 있었고 일년에 4개월은 해가 뜨지 않는 극한적 환경이었습니다. 연간 평균 온도는 섭씨 6도에 불과했을 것입니다. 이런 환경에서도 새끼가 태어났다는 것은 예상보다 공룡의 온혈성이 완전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알에서 태어난 새끼 공룡은 큰 몸집을 이용해서 체온을 유지하기 어려운데다 대형 공룡일수록 커지는 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철새처럼 계절에 따라 이동했을 가능성도 있으나 작은 새끼 공룡이 먼 거리를 이동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북극권에서 알을 낳았다는 것은 추운 환경에 적응했다는 결정적인 증거입니다.
보통 공룡을 소재로한 일러스트나 영화는 모두 열대지방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새로운 사실에 맞춰 수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1-06-multiple-dinosaur-species-arctic.html
Current Biology, Druckenmiller et al.: "Nesting at Extreme Polar Latitudes by Non-Avian Dinosaurs" www.cell.com/current-biology/f … 0960-9822(21)00739-9 , DOI: 10.1016/j.cub.2021.05.041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