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gnant ichthyosaur with octuplets. Credit: (c) Nobumichi Tamura)
어룡(ichthyosaur)은 중생대에 바다를 헤엄친 해양 파충류 가운데 하나로 흔히 돌고래를 닮은 모습으로 복원되곤 합니다. 물론 외형상의 유사점은 수렴 진화에 의한 것으로 둘 사이에는 특별한 연관이 없습니다. 어룡은 파충류의 일종으로 분류하지만 실제로는 현생 파충류와는 여러 가지 다른 특징을 지닌 독특한 생물체 였습니다.
어룡이 현재 파충류와 다른 대표적 특징 중 하나가 바로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직접 출산하다는 점 입니다. 현생 해양 파충류인 바다 거북이의 경우 육지에서 매우 느리지만 알을 낳기위해 어쩔 수 없이 육지로 올라와야 합니다. 알에서 갖 태어난 새끼 거북이도 매우 느리고 무력하지만 어쩔 수 없이 바다까지 다른 포식자들을 피해 바다까지 기어 갑니다.
하지만 신체가 고래처럼 완전히 수중생활에 적응된 어룡은 이것이 불가능 합니다. 따라서 어룡은 아예 물속에서 새끼를 직접 낳는 능력을 진화시켰습니다. 그런데 어룡은 새끼를 직접 낳는 방식으로 진화하면서 한 번에 낳는 새끼의 숫자를 크게 줄인 것으로 보입니다. 알을 낳는 경우 너무 큰 알은 쉽게 잡아먹힐 가능성이 있고 호흡 문제로 크기에도 제약이 있지만 새끼를 모체에서 키우는 경우 이런 제약에서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새끼의 숫자를 줄이는 대신 크기를 키워 낳으면 생존 가능성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그렇다고 너무 숫자를 줄이면 충분한 후손을 남기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어룡은 한 번 임신에 몇 마리 씩 출산을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전에 소개드린 것처럼 3마리의 새끼를 출산하다 그대로 화석화된 어룡도 있습니다.
맨체스터 대학의 연구팀은 우연한 기회에 화석 수집가가 소장하던 특이한 화석을 조사했습니다. 이 화석은 어룡의 갈비뼈 안쪽에 뭔가 작은 생물의 화석이 존재했는데 이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사실 어룡 태아의 화석이라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연구팀은 이 작은 어룡들이 위산에 부식된 흔적이 없고 벨렘나이트처럼 당시 어룡이 즐겨먹던 먹이와 섞이지 않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새끼 화석이 적어도 6마리에서 많게는 8마리라는 점 입니다.
어미의 골격은 일부만 발견되어 종을 특정하기 어렵지만 연구팀은 Stenopterygius 의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살았던 시기는 1억8천만년 전 입니다. 어룡의 크기를 고려하면 사실 8마리의 새끼를 낳았다고 해도 그다지 놀라운 일은아닐 것입니다. 스테놉테리지우스는 몸길이 4m에 달해 현재 돌고래 이상 몸집을 지닌 어룡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발견은 후손을 가장 많이 남기기 위한 최적의 새끼 숫자를 두고 어룡이 여러 가지 시도를 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과거 발견된 스테놉테리지우스의 태아는 한 마리인 경우도 있었습니다. 과연 어느 쪽이 번식에 더 유리했을지 궁금해지는 결과가 아닐 수 없습니다.
어룡은 중생대에 걸쳐 큰 번성을 누리다가 백악기 후기 공룡의 멸종 전에 자취를 감추게 됩니다. 그들의 생태만큼이나 멸종 역시 미스터리지만, 적어도 1억년 이상 바다에서 번영을 누렸다는 점에서 이들은 매우 성공적인 생물체였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참고
Boyd, M. J. and Lomax, D. R. 2018. The youngest occurrence of ichthyosaur embryos in the UK: A new specimen from the Early Jurassic (Toarcian) of Yorkshire. Proceedings of the Yorkshire Geological Society, doi.org/10.1144/pygs2017-008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