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거대 어룡 쇼니사우루스는 왜 한 장소에서 죽었나?



 (Adult and young of the ichthyosaur species Shonisaurus popularis chase ammonoid prey 230 million years ago, in what is now Berlin-Ichthyosaur State Park, Nevada, U.S.A. Credit: Gabriel Ugueto)




(3D-model image of the Shonisaurus popularis fossil bed at Quarry 2 in Berlin-Ichthyosaur State Park, Nevada. Fossilized bones have been color-coded where each color corresponds to a different skeleton. Credit: Smithsonian Institution)



(Findings published today in the journal Current Biology examine a rich fossil bed in the renowned Berlin-Ichthyosaur State Park in Nevada’s Humboldt-Toiyabe National Forest, where many 50-foot-long ichthyosaurs (Shonisaurus popularis) lay petrified in stone. The study suggests that nearly 200 million years before giant whales evolved, school bus-sized marine reptiles called ichthyosaurs may have been making migrations to breed and give birth together in relative safety. To try to solve the prehistoric mystery of how these ichthyosaurs met their end, the team combined newer paleontological techniques such as 3D scanning and geochemistry with traditional paleontological perseverance by poring over archival materials, photographs, maps, field notes and drawer after drawer of museum collections for shreds of evidence that could be reanalyzed. Although most well-studied paleontological sites excavate fossils so they can be more closely studied by scientists at research institutions, the main attraction for visitors to the Nevada State Park-run Berlin-Ichthyosaur State Park is a barn-like building that houses what researchers call Quarry 2, an array of ichthyosaurs that have been left embedded in the rock for the public to see and appreciate. Quarry 2 has partial skeletons from an estimated seven individual ichthyosaurs that all appear to have died around the same time. Credit: Neil Kelley / Vanderbilt University)

네바다 주의 훔볼트-토이야브 국립 숲 (Nevada's Humboldt-Toiyabe National Forest)에는 2억 년 전에 살았던 거대 어룡 (ichthyosaurs) 인 쇼니사우루스 (Shonisaurus popularis)가 집단 발굴된 베를린 어룡 주립 공원 (Berlin-Ichthyosaur State Park (BISP))이 존재합니다.

몸길이가 15m에 달하는 거대 어룡인 쇼니사우루스는 트라아이스기는 물론 역사상 가장 큰 해양 파충류 중 하나로 이 시기의 고래와 비슷한 생태적 지위를 지닌 생물이었습니다. 따라서 보통 화석도 골격의 일부만 발견되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BISP에서는 적어도 37마리 이상의 성체 화석이 한 번에 대거 발굴되어 과학자들은 쇼니사우루스의 전체 골격을 충분히 연구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거대 어룡이 한 장소에서 떼죽음을 당한 이유는 설명하기 힘들었습니다.

유타 대학의 과학자들을 포함한 여러 기관의 합동 연구팀 (University of Utah (Natural History Museum of Utah and Department of Geology & Geophysics), Smithsonian Institution, Vanderbilt University, University of Nevada, Reno, University of Edinburgh,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Vrije Universiteit Brussels, and University of Oxford)은 최신 기술을 동원해 이 미스터리를 풀 단서를 찾았습니다.

연구팀은 아직 발굴되지 않고 기반암에 그대로 붙어 있는 채석장 2 (Quarry 2, 사진) 에서 디지털 카메라와 3D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해 7마리의 쇼니사우루스 화석을 분석했습니다. 동시에 같은 지층에 있는 다른 화석과 집단 폐사의 원인이 될 단서들도 연구했습니다.

과거 나왔던 가설 중 하나는 현재의 고래처럼 실수로 해안가에 올라와 집단 폐사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모든 쇼미사우루스들은 해안가가 아닌 바다 한 가운데서 죽은 후 가라앉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화산 활동 같은 다른 이유도 검증하기 위해 수은의 농도를 측정했으나 이 역시 정상 수준이었습니다. 독성 조류의 과다 증식 같은 다른 이유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연구팀은 해당 지층에 쇼니사우루스 외에 다른 큰 동물이 없고 화석 자체가 드물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현재의 고래들은 안전하게 새끼를 낳고 키우기 위해 다른 포식자가 없는 바다로 장거리 여행을 떠납니다. 쇼미사우루스도 마찬가지였다고 해석하면 이 상황을 쉽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결정적 증거는 이 장소에서 중간 크기 개체를 발견한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대신 연구팀은 세밀한 조사를 통해 아직 태어나기 전이나 혹은 갖 태어난 것으로 보이는 작은 새끼의 화석은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어룡은 알이 아니라 엄마 배속에서 바로 나오는 방식으로 번식하기 때문에 아직 태어나기 전 태아의 화석은 임신 중 이 곳을 방문했다는 결정적 증거입니다.

현재의 고래처럼 어룡 역시 새끼를 안전한 곳에서 낳고 싶어서 작은 생물밖에 없는 멀고 외진 바다로 나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룡의 사체가 한 장소에 모인 이유는 정확히 설명할 순 없지만, 이들이 먹이를 찾기 위해서 이곳에 온 것이 아니라 새끼를 낳기 위해서 모였다는 가설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흔히 어룡은 외형상 돌고래와 비슷한 수렴 진화의 사례로 소개되곤 하는데, 쇼니사우루스는 오히려 대형 고래에 가까운 존재였을 것입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2-12-analysis-giant-extinct-marine-reptile.html

Neil P. Kelley, Grouping behavior in a Triassic marine apex predator, Current Biology (2022). DOI: 10.1016/j.cub.2022.11.005. www.cell.com/current-biology/f … 0960-9822(22)01761-4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