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retaceous bird Jeholornis pooping out seeds from fruit, helping fruit-bearing plants take over the world. Credit: Zhixin Han and Yifan Wang.)
(Seeds preserved in the abdominal area of selected Jeholornis prima specimens. Credit: Hu et al, eLife (2022). DOI: 10.7554/eLife.74751, adapted from O'Connor et al (2018))
(Cartoon depicting Jeholornis eating fruits and pooping out seeds. Credit: Yezi)
현대 조류는 식물의 씨앗을 퍼트리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처럼 맛있는 과일을 만드는 식물이 진화하게 된 계기 역시 과일과 함께 씨앗을 먹고 먼 거리에 비료가 될 배설물과 함께 뿌려주는 동물 덕분입니다. 이 둘은 서로 공진화를 진행해 현재의 모습이 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시기가 언제부터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옥스퍼드 대학의 한 후 (Han Hu)가 이끄는 연구팀은 1억 2000만년 전 중국에 살았던 백악기 원시 조류인 제홀로르니스 (Jeholornis)가 과일을 먹은 가장 오래된 새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제홀로르니스는 조류의 알려진 그룹 가운데 두 번째로 원시적인 그룹으로 긴 꼬리를 지닌 까마귀와 비슷한 크기의 새였습니다. 제홀로르니스의 화석 가운데 상당수에서 위장에 있는 식물의 씨앗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이 씨앗을 먹은 것인지 아니면 과일을 먹었는데, 단단한 씨앗만 화석화 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가장 보존 상태가 우수한 제홀로르니스 화석을 호주 핵 과학 기술원 (Australian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zation, ANSTO)의 호주 싱크로트론 (Australian Synchrotron)을 이용해 분석했습니다.
제홀로르니스의 턱과 두개골은 원시적인 특징을 많이 지니고 있지만, 이빨이 줄어드고 부리에 의존도가 높아지는 등 현생 조류와 유사한 특징들도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연구팀이 주목한 부분은 턱뼈로 씨앗을 갈아먹거나 깨 먹을 수 있는지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깨 먹지는 못했을 것으로 보였습니다.
(3D model of a Jeholornis skull)
연구팀은 추가로 위에서 발견된 씨앗과 돌의 흔적을 분석했습니다. 제홀로르니스의 위에서 발견된 씨앗은 모두 온전한 형태였습니다. 이는 씨앗이 아니라 과일을 먹은 후 씨앗만 남았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그런데 사싱 현생 조류도 씨앗을 꼭 깨는 것이 아니라 통으로 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돌을 함께 삼켜 씨앗을 안에서 갈아버립니다. 연구팀은 돌도 같이 발견했지만, 돌과 씨앗이 동시에 발견된 경우가 없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과일은 일년 내내 구할 수 있는 식량이 아닙니다. 따라서 과일을 주로 먹는 시즌에는 돌을 삼키지 않았지만, 과일을 구할 수 없는 시기에는 돌을 삼켜 여러 가지 단단한 음식을 갈아서 소화했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깨진 씨앗이 없고 모두 온전한 형태라는 점도 먹는 것이 씨앗이 아닌 부드러운 과일이었다는 점을 강력히 시사합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다소 간접적인 증거를 제시했지만, 꽃을 피우는 개화 식물의 진화나 과일을 이용해 씨앗을 퍼트리는 식물이 백악기에 등장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 시기에 이미 과일을 먹는 새가 있었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지금 맛있는 과일을 먹을 수 있는 건 이들 덕분일지도 모릅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2-08-early-bird-fruit-fossil-earliest.html
Han Hu et al, Earliest evidence for fruit consumption and potential seed dispersal by birds, eLife (2022). DOI: 10.7554/eLife.74751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