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지구가 따뜻해지면 작물 생산량이 늘어날까?



(Using 29 years of data from Landsat satellites, researchers at NASA have found extensive greening in the vegetation across Alaska and Canada. Rapidly increasing temperatures in the Arctic have led to longer growing seasons and changing soils for the plants. Scientists have observed grassy tundras changing to scrublands, and shrub growing bigger and denser. From 1984–2012, extensive greening has occurred in the tundra of Western Alaska, the northern coast of Canada, and the tundra of Quebec and Labrador.
Credits: NASA's Goddard Space Flight Center/Cindy Starr) 


 지구 평균 기온 상승에 따라 식생 역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변화가 반드시 인간에게 불리한 것만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온이 온화해짐에 따라 작물 재배에 북방 한계선이 올라가서 캐나다나 러시아처럼 추운 지역이 많은 국가에서는 작물 재배 면적이 늘어나게 된다는 것이죠. 동시에 과거에는 한 번 농사를 짓던 지역에 이모작을 할 수 있거나 혹은 재배할 수 없던 열대 과일을 재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나사에서 진행한 연구에서는 1984년에서 2012년 사이 캐나다와 알래스캐에서 30년 동안 식물의 생장이 최대 29.4%증가한 것으로 보고했습니다. 






(동영상) 


 하지만 최근 저널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Nature Geoscience)에 실린 논문에서는 오히려 지구 기후 변화가 곡물 생산량을 떨어뜨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그것도 국내 연구진에 의해서 말이죠. 포항공대 (POSTECH) 환경 공학부의 박사과정 김진수 (Jin-Soo Kim, 1저자) 및 국종송 교수 (Jong-Seong Kug. 공동 교신), 중국남방과기대 정수종 교수 (Su-Jong Jeong, 공동 교신)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기온 상승에도 불구하고 기상 이변이 더 잦아지면서 오히려 곡물 생산이 최대 20%까지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지난 30년간 수집된 여러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기후 변화가 곡물 생산에 미친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이상 이변이 오히려 곡물 생산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예를 들어 기후가 온화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봄철에 발생하는 이상 기후 및 가뭄 등으로 작물 생산이 오히려 감소했다는 것입니다. 


 연구팀에 의하면 북극 기상 이변(anomalous warming in the Arctic)이 있는 해에는 평균 1-4%의 감소가 있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최대 20%의 감소가 목격되었습니다. 생산량 감소는 연간 0.31 PgC/yr (10의 15승 g의 탄소에 해당되는 양) 수준으로 당장 식량 위기를 걱정해야 할 정도는 아니라고 해도 장기적으로 곡물 수요 증가와 함께 곡물 가격 안전성을 해칠 수 있는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을 것입니다. 


 사실 기온이 올라서 농사가 잘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우리도 겪는 일입니다. 지난 100여년 간 한반도의 기온 상승은 지구 평균보다 더 빨랐고 기상 이변도 더 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몇 년간은 가뭄으로 인해 농작물 가격이 올라 물가에까지 적지 않은 영향을 줬고 일부 지역에서는 생활용수는 물론 식수난까지 겪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이와 같이 기후 변화에 따른 작물 생산 감소를 실제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한 가지 더 언급하고 싶은 점은 이 내용을 블로그에 올려볼까 하고 생각하던 중 저자인 김진수 선생님으로부터 메일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현재 기후 관련 연구를 진행하시면서 제 블로그의 독자로 틈틈히 구독해왔는데, 이 연구 결과를 블로그 통해 소개하고 싶다는 것이었습니다. 친철하게도 논문과 더불어 보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참고로 네이처 지오사이언스는 인용지수(IF)가 10점 대 중반으로 상당히 높은 랭킹을 지닌 저널입니다. 보통 이 정도면 그 분야에서는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저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블로그를 통해서 소개드린 것처럼 저도 10점대 저널에 도전했다가 번번히 고배를 마신적이 있습니다. 그런만큼 만약 이런 저널에 실리면 보도자료를 만들어 언론사에 배포할 정도로 학교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자 개인에게도 큰 경력이 됩니다. 높은 저널에 실렸다는 그 자체로 과학 커뮤니티에서 그만큼 인정을 받았다는 이야기니까요. 


 따라서 이런 저널에 이렇게 중요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는 점은 매우 축하할 일입니다. 김선생님께 답장 메일로 축하의 말을 전했는데 다시 축하드립니다. 블로그 독자분이 이렇게 좋은 연구를 해서 인정을 받았다고 하니 제가 된 것처럼 기분이 좋고 널리 소개하고 싶습니다. 물론 이제 박사과정이시니 앞길이 더 창창하리라 믿습니다. 좋은 연구 많이 하셔서 학문 발전에도 기여하고 개인적으로도 잘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그런데 이런 연구는 단순히 개인의 명예나 경력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저도 연구를 하면서 그다지 중요한 기여는 못해도 질병 예방 및 보건 정책 수립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것으로 믿고 연구를 합니다. 이 연구는 앞으로 기후 변화에 대한 국가 정책 수립은 물론 국제 사회의 정책 수립에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앞으로 후속 연구가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종종 보면 독자분 가운데서 연구하시는 분들도 있으신 것 같습니다. 혹시 그 가운데 자신의 연구를 소개하고 싶으신 분은 이렇게 소개해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가능하면 너무 특수한 내용이 아니라 비전공자와 일반 대중도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는 연구에 국한해서 진행하겠습니다. SCI 저널에 실린 연구면 더 좋구요. 


 참고 


Jin-Soo Kim et al. Reduced North American terrestrial primary productivity linked to anomalous Arctic warming, Nature Geoscience (2017). DOI: 10.1038/ngeo2986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R 스튜디오 설치 및 업데이트

 R을 설치한 후 기본으로 제공되는 R 콘솔창에서 코드를 입력해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그렇게 하기 보다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R 개발환경인 R 스튜디오가 널리 사용됩니다. 오픈 소스 무료 버전의 R 스튜디오는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며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R을 위한 IDE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www.rstudio.com/  다운로드 R 이나 혹은 Powerful IDE for R로 들어가 일반 사용자 버전을 받습니다. 오픈 소스 버전과 상업용 버전, 그리고 데스크탑 버전과 서버 버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오픈 소스 버전에 데스크탑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상업 버전의 경우 데스크탑 버전의 경우 년간 995달러, 서버 버전은 9995달러를 받고 여러 가지 기술 지원 및 자문을 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버전을 설치하는 과정은 매우 쉽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인스톨은 윈도우, 맥, 리눅스 (우분투/페도라)에 따라 설치 파일이 나뉘지만 설치가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이라면 R은 사전에 반드시 따로 설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R 스튜디오만 단독 설치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죠.   설치된 R 스튜디오는 자동으로 업데이틀 체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R 스튜디오에서 Help 로 들어가 업데이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업데이트 할 내용이 없다면 최신 버전이라고 알려줄 것이고 업데이트가 있다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R의 업데이트와 R 스튜디오의 업데이트는 모두 개별적이며 앞서 설명했듯이 R 업데이트는 사실 기존 버전과 병행해서 새로운 버전을 새롭게 설치하는 것입니다. R 스튜디오는 실제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기 때문에 구버전을 지워줄 필요는

R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 오류 (1)

 R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 하다보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 경우 아예 R을 재설치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렇게해도 해결이 안되고 계속해서 사용자는 괴롭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중 하나를 소개합니다.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 혹은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서 같이 설치하는 패키지 중 하나가 설치가 되지 않는다는 메세지가 계속 나왔는데, 사실은 백신 프로그램 때문이었던 경우입니다.   dplyr 패키지를 업데이트 하려고 했는데, 제대로 되지 않아 다시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일부 패키지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는다는 메세지가 나왔습니다.  > install.packages("dplyr") Error in install.packages : Updating loaded packages > install.packages("dplyr") Installing package into ‘C:/Users/jjy05_000/Documents/R/win-library/3.4’ (as ‘lib’ is unspecified) also installing the dependencies ‘bindr’, ‘bindrcpp’, ‘Rcpp’, ‘rlang’, ‘plogr’ trying URL ' https://cran.rstudio.com/bin/windows/contrib/3.4/bindr_0.1.1.zip ' Content type 'application/zip' length 15285 bytes (14 KB) downloaded 14 KB trying URL ' https://cran.rstudio.com/bin/windows/contrib/3.4/bindrcpp_0.2.2.zip ' Content type 'application/zip' length 620344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