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우주 이야기 454 - 초대형 별의 집단을 관측하다



(The image shows the central region of the Tarantula Nebula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The young and dense star cluster R136 can be seen at the lower right of the image. This cluster contains hundreds of young blue stars, among them the most massive star detected in the Universe so far. Using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astronomers were able to study the central and most dense region of this cluster in detail. Here they found nine stars with more than 100 solar masses. Credit: NASA, ESA, P Crowther (University of Sheffield) )
 지구에서 17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R136 성단은 대마젤란 은하에 속한 거대한 가스와 별의 모임입니다. 여기에는 현재까지 관측된 가장 거대한 별인 R136a1이 존재합니다. 이 별의 질량은 태양의 250배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과학자들은 이 성단에 태양 질량의 100배가 넘는 거대한 별이 여럿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엄청난 밝기에도 불구하고 거리가 너무 먼데다 두꺼운 가스에 가려져 그 정확한 분포를 알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세필드 대학의 폴 크로우더 (Paul Crowther from the University of Sheffield)를 비롯한 국제 천문학자팀은 허블 우주 망원경에 설치된 ​Wide Field Camera 3 (WFC3) 자외선 분해능을 한계까지 끌어올려 이 거대 별들의 집단을 관측했습니다.
 그 결과 태양 질량의 50배가 넘는 거성은 수십 개에 달하며 태양 질량의 100배가 넘는 별도 무려 9개나 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다만 아래 사진에서와 같이 이 별들이 불과 지름 수 광년의 좁은 공간에 몰려 있어 허블 우주 망원경의 능력으로도 각각의 별을 분석하는데 애를 먹었을 정도입니다.

(The left side of this collage shows the central part of the young star cluster R136 as it can be seen in the ultraviolet. Due to the high-resolution of Hubble in the ultraviolet the individual stars in this dense cluster can be resolved and studied. The right side shows a pseudo-image, created from the UV spectra collected with the Space Telescope Imaging Spectrograph (STIS). These spectra have been used by scientists to determine the properties of the stars in R136. The boundary of the 17 slit locations is outlined in white in the left image. The long-slit data from the spectrograph have been compressed to the width of the slits and stacked to create a pseudo-image. This allows the slit locations to be matched to stars in the left image. Credit: ESA/Hubble, NASA, K.A. Bostroem (STScI/UC Davis) )


 이런 거대 질량 별들은 생성되기도 어렵지만, 수명이 수백만년 정도로 짧기 때문에 사실 매우 드문 존재들입니다. 하지만 이 드문 존재가 지금의 우주를 만드는데 매우 큰 기여를 했습니다. 이들이 초신성 폭발로 일생을 마치면서 무거운 원소들을 대량으로 우주에 뿌리기 때문입니다. 태양 같은 별에서는 산소-탄소 정도가 마지막인 점을 감안하면 우리가 사는 지구는 이런 거대 질량 별 없이는 형성될 수 없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말할 것도 없죠.
 따라서 과학자들은 이런 거대 질량 별이 어떻게 생성되고 진화하는지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의 저자들은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는 거대 질량 쌍성계가 결국 합쳐져 더 큰 별이 되지 않았을까하는 가설을 내놨습니다. 이렇게 가까운 거리에서는 별들이 서로의 중력에 의해 합쳐지는 일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이런 거대 별들의 형성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아마도 차세대 망원경이 개발되면 이런 거대 별의 모습이 더 자세하게 드러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참고


   "The R136 Star Cluster Dissected with Hubble Space Telescope/STIS. I. Far-Ultraviolet Spectroscopic Census and the Origin of He II 1640 in Young Star Clusters," 2016 May 1,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mnras.oxfordjournals.org/content/458/1/624                                        

  http://phys.org/news/2016-03-hubble-unveils-monster-stars.html#jCp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R 스튜디오 설치 및 업데이트

 R을 설치한 후 기본으로 제공되는 R 콘솔창에서 코드를 입력해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그렇게 하기 보다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R 개발환경인 R 스튜디오가 널리 사용됩니다. 오픈 소스 무료 버전의 R 스튜디오는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며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R을 위한 IDE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www.rstudio.com/  다운로드 R 이나 혹은 Powerful IDE for R로 들어가 일반 사용자 버전을 받습니다. 오픈 소스 버전과 상업용 버전, 그리고 데스크탑 버전과 서버 버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오픈 소스 버전에 데스크탑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상업 버전의 경우 데스크탑 버전의 경우 년간 995달러, 서버 버전은 9995달러를 받고 여러 가지 기술 지원 및 자문을 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버전을 설치하는 과정은 매우 쉽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인스톨은 윈도우, 맥, 리눅스 (우분투/페도라)에 따라 설치 파일이 나뉘지만 설치가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이라면 R은 사전에 반드시 따로 설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R 스튜디오만 단독 설치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죠.   설치된 R 스튜디오는 자동으로 업데이틀 체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R 스튜디오에서 Help 로 들어가 업데이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업데이트 할 내용이 없다면 최신 버전이라고 알려줄 것이고 업데이트가 있다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R의 업데이트와 R 스튜디오의 업데이트는 모두 개별적이며 앞서 설명했듯이 R 업데이트는 사실 기존 버전과 병행해서 새로운 버전을 새롭게 설치하는 것입니다. R 스튜디오는 실제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기 때문에 구버전을 지워줄 필요는

R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 오류 (1)

 R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 하다보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 경우 아예 R을 재설치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렇게해도 해결이 안되고 계속해서 사용자는 괴롭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중 하나를 소개합니다.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 혹은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서 같이 설치하는 패키지 중 하나가 설치가 되지 않는다는 메세지가 계속 나왔는데, 사실은 백신 프로그램 때문이었던 경우입니다.   dplyr 패키지를 업데이트 하려고 했는데, 제대로 되지 않아 다시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일부 패키지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는다는 메세지가 나왔습니다.  > install.packages("dplyr") Error in install.packages : Updating loaded packages > install.packages("dplyr") Installing package into ‘C:/Users/jjy05_000/Documents/R/win-library/3.4’ (as ‘lib’ is unspecified) also installing the dependencies ‘bindr’, ‘bindrcpp’, ‘Rcpp’, ‘rlang’, ‘plogr’ trying URL ' https://cran.rstudio.com/bin/windows/contrib/3.4/bindr_0.1.1.zip ' Content type 'application/zip' length 15285 bytes (14 KB) downloaded 14 KB trying URL ' https://cran.rstudio.com/bin/windows/contrib/3.4/bindrcpp_0.2.2.zip ' Content type 'application/zip' length 620344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