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엔비디아)
RTX 5090 FE (Founders Edition)의 리뷰가 공개됐습니다. 설마 했던 500W 이상의 전력 소모는 사실이었지만, 정말 신기하게도 RTX 4090보다 훨씬 작은 2슬롯 쿨러로 진짜 이 발열을 잡아냈습니다. 케이스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위로 올라가는 구조가 살짝 걱정되기는 하지만, 어차피 이런 고성능 그래픽 카드 쓰실 분들은 대부분 3열 수냉 쿨러를 위에 붙이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제는 정말 그래야 하는 시대이기 때문에 어쩌면 큰 문제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RTX 5090의 기본 성능은 HD 해상도에서는 생각보다 높지 않으나 4K 해상도에서는 확실히 30% 정도 오르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먹는 전기는 그 이상이긴 하지만, RTX 4090이 한 개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반면 RTX 5090은 세 개의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어 멀티 프레임 생성 기능을 켜는 순간 성능 향상의 폭이 상당히 커집니다.
쿨엔조이 벤치: https://coolenjoy.net/bbs/board.php?bo_table=39&wr_id=36674&p=1
퀘이사존 벤치: https://quasarzone.com/bbs/qc_bench/views/92822
탐스 하드웨어 벤치 : https://www.tomshardware.com/pc-components/gpus/nvidia-geforce-rtx-5090-review
(RT 90 라인 비교. 출처: 탐스하드웨어)
만약 사용자가 60프레임 고정을 선택하고 다중 프레임 생성 기술을 사용한다면 오히려 전력 소모는 RTX 4090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다만 그런 용도로 사용하기보다는 극강의 고성능 게임 환경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주로 구매할 것으로 보입니다. 120프레임 이상 원할한 4K 게임을 하면서도 이미지 품질까지 최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유저들, 기존의 DLSS3의 이미지 품질에 만족하지 못했던 유저들에게 크게 어필할 것으로 보이지만, 가격 때문에 실제 구매하는 유저는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격을 생각하면 아무래도 RTX 5070이나 RTX 5070Ti의 벤치마크 결과가 궁금해지는데, DLSS4와 멀티 프레임 생성 기능으로 얼마나 앞선 성능을 보여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