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는 사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찾는 각성물질입니다. 졸릴 때 커피 한 잔은 많은 나라에서 사랑 받는 각성 방법입니다. 각성과 무관하게 커피 만의 독특한 향과 맛이 정신을 깨우고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긴 하지만, 카페인의 효과로 실제 각성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 히로시마 대학의 유 타하라 교수 (Yu Tahara, associate professor at Hiroshima University)는 카페인에 각성 효과에 설탕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설탕은 커피에 가장 많이 넣는 첨가제 중 하나로 액체 상태로 빠르게 흡수되기 때문에 뇌에도 같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입니다.
연구팀은 쥐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 실험군에는 카페인 0.1%가 포함된 물에 1%의 설탕을 섞었고 대조군에는 똑같이 카페인 0.1%와 사카린 0.1%를 섞어 마시게 했습니다. 그 결과 설탕이 포함된 실험군에서 분명하게 깨어 있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본래는 24시간이던 생체 주기가 26-30시간 정도로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개체는 낮과 밤이 바뀌기도 했습니다.
물론 이런 효과가 인간에게서 그대로 나타나는지는 검증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엄격히 통제한 상태에서 실험이 진행되어야 해서 검증이 간단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튼 비슷한 효과가 인간에게서 나타난다면 그 이유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카페인과 설탕 모두 인체의 보상 센터와 연관이 있다는 것과 시상하부에 있는 생체 리듬 조절핵인 시교차상핵 (suprachiasmatic nucleus, SCN)을 독립적으로 자극하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커피에 설탕을 많이 넣거나 단 음식과 함께 먹는 일은 적당히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적인 각성 효과를 얻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수면 리듬을 심하게 깨뜨려 불면증이나 업무 시간 중 심한 졸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운전 중이라면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커피나 설탕 모두 안전한 음식이지만, 지나치지 않게 즐겨 한다는 점 역시 분명합니다.
참고
https://newatlas.com/diet-nutrition/sugar-coffee-circadian/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38-024-00295-6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