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ary Late Quaternary (~300,000–~50,000 years BP) hominin taxa from eastern Asia. Credit: Nature Communications (2024). DOI: 10.1038/s41467-024-53918-7)
호모 사피엔스는 호모 속에 속한 유일한 현생종이지만, 과거에는 훨씬 다양한 종이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하고 있었습니다. 최근 화와이 대학의 크리스토퍼 배 교수 (Christopher J. Bae from the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s Department of Anthropology in the College of Social Sciences)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중국에서 발견된 화석을 중심으로 새로운 호미닌인 호모 줄루엔시스 (Homo Juluensis)를 보고했습니다.
호모 줄루엔시스는 마치 아프리카 이름 같지만, 사실은 거대한 머리라는 뜻의 주루라는 중국어에서 비롯된 단어로 뇌가 매우 큰 것이 특징입니다. 호모 줄루엔시스의 뇌 용적은 1750cc로 1350cc인 현생 인류는 물론 1450cc인 네안데르탈인보다 큽니다.
(Possible 'new ancient human' species identified | BBC Global)
호모 줄루엔시스는 아마도 30만년 전부터 5만년 전까지 동아시아 지역에 살았던 것으로 보이며 작은 그룹을 이뤄 야생말 등을 사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주로 DNA 정보로 알려진 데니소바인과도 유사한 특징을 지녀 같은 종이거나 근연종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라시아 각 지역에 살고 있던 여러 호모 종들은 숫적으로 호모 사피엔스보다 적었기 때문에 호모 사피엔스가 퍼져 나감에 따라 대부분 흡수되어 사라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호모 줄루엔시스의 유전자 역시 우리 안에 존재할지 모릅니다.
다만 일부 과학자들은 호모 줄루엔시스라는 명칭을 붙일 수 있을 만큼 증거가 충분치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적은 골격만을 통해 별개의 종임을 주장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상태로 더 많은 화석이 발굴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만약 호모 줄루엔시스가 실제로 존재한 별개의 종이었다면 네안데르탈인처럼 그들이 사라진 이유와 이들이 남긴 유전자가 현대인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ㄴ디ㅏ.
참고
https://phys.org/news/2024-11-homo-juluensis-ancient-human-species.html
Christopher J. Bae et al, Making sense of eastern Asian Late Quaternary hominin variability, Nature Communications (2024). DOI: 10.1038/s41467-024-53918-7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