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7월, 2018의 게시물 표시

림팩 2018에 참가한 함정들

 현재 림팩 2018 훈련에 참가한 46개 군함의 영상입니다. 25개국이 참가한 림팩 훈련은 스태프만 보낸 경우도 많지만 여러 나라에서 함정을 보내 훈련에 직접 참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USS Carl Vinson을 비롯 20여척의 함정이 참가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 역시 대조영함, 율곡 이이함, 박위함이 참가했습니다.  (동영상)  항모를 필두로 쭉 늘어선 군함을 보면 역시 긴 말 필요 없이 장관인 것 같습니다.   참가국 명단 RIMPAC 2018 Participating Forces [35]   Royal Australian Navy HMAS  Adelaide HMAS  Toowoomba HMAS  Melbourne HMAS  Rankin HMAS  Success   Royal Australian Air Force RAAF P-8A Poseidon   Royal Brunei Navy Staff   Royal Canadian Navy HMCS  Vancouver HMCS  Ottawa HMCS  Yellowknife HMCS  Whitehorse MV  Asterix 1  CP-140  maritime patrol aircraft   Chilean Navy Almirante Lynch Ground forces   Colombian National Navy Staff   French Navy Prairial   German Navy Ground forces & staff   Indian Navy INS  Sahyadri   Indonesian Navy KRI  Makassar K...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미생물

( After a few weeks in soils, numerous soil microorganisms colonized the surface of the PBAT films and had begun to biodegrade the polymer. (Electron microscopy image) Credit: ETH Zurich / Environmental Chemistry Group )   플라스틱은 가볍고 튼튼하며 가격도 저렴한 매우 유용한 소재지만, 오랜 시간 썩지 않고 환경에 남는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물론 썩지 않는 성질도 유용하게 쓰일 때가 있지만, 막대한 양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와 토양에 남아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생분해성 (biodegrade)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생분해성 플라스틱 가운데는 진짜로 환경에서 분해되어 사라지는지 검증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또 분해되는 과정과 이후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부족했습니다. 스위스 연방 공과대학 및 스위스 연방 수산 과학기술연구소(ETH Zurich and the Swiss Federal Institute of Aquatic Science and Technology (Eawag))의 과학자들은 농업용으로 흔히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소재의 플라스틱 비닐의 대체제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연구했습니다.   농업에서 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닐의 양은 상당하지만, 매년 다 수거되지 못하고 일부는 토양에 남게 됩니다. 매년 조금씩 썩지 않는 플라스틱 비닐이 축적되면 결국 토양이 상당히 오염되어 농작물을 생산하는데 지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에서 안전하게 분해되는 대체제가 필요합니다. 연구팀은 비슷한 석유 기반 제품인 PBAT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가 실제로 토양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 될 뿐...

기생 유전자가 살아남는 비결

( Models of genetic parasites in a population of hosts. Credit: Iranzo and Koonin. ©2018 EPL )   기생 유전자 혹은 유전적 기생 (genetic parasites)라는 표현은 이상하지만, 실제로 복잡한 진핵 생물의 유전자에는 아무 기능도 없이 단지 복제만 되는 유전자들이 섞여 있습니다. 전체 유전자 중 많게는 절반 정도가 기생 유전자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들은 각종 바이러스나 플라스미드(plasmids), 전이인자 (transposon)의 흔적으로 숙주의 유전자와 함께 복제되는 무임 승차 이외에는 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기생 유전자가 많으면 사실 숙주의 생존에 불리해집니다. 세포 분열시 모든 유전자를 한 세트 더 복제해야 하는데, 필요없는 유전자가 끼어들면 복제에 들어가는 자원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자연 선택에 의해 기생 유전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게 됩니다. 이런 기생 유전자가 적은 개체가 세포 분열시 자원을 적게 소모하고 그만큼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쉽게 이해할 수 없을 만큼 많은 기생 유전자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연 선택에 의한 소실을 막는 다른 메카니즘이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미 국립 보건원의 제이미 이란조와 유진 쿠닌 (Jaime Iranzo and Eugene V. Koonin at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in Bethesda, Maryland)은 수평적 유전자 전달 horizontal gene transfer (HGT)에서 그 이유를 찾았습니다.   수평적 유전자 전이는 부모 자식간이 아니라 종간 유전자가 바이러스 등을 통해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생각보다 매우 흔하게 일어나서 우리가 지닌 유전자 중 상...

여왕 개미와 일개미는 어떻게 분화됐을까?

( In many ant species, workers are much smaller than queens and cannot reproduce. Researchers wanted to know: how did these physic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evolve? Credit: Daniel Kronauer ) ​  개미는 역할에 따라 특화된 여왕, 일개미, 병정개미 등으로 매우 큰 군집을 이뤄 살아갑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역할 분담은 어떻게 진화된 것일까요? 최근 록펠러 대학의 다니엘 크로나워 교수 (Daniel Kronauer, the Stanley S. and Sydney R. Shuman Associate Professor)와 그의 동료들은 개미의 호르몬에서 그 단서를 찾아 냈습니다.    연구팀은 insulin like peptide (ILP2)라는 물질이 개미의 대사를 촉진하고 생식 능력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물질은 이름처럼 개미 버전의 인슐린으로 대사를 촉진하는 호르몬입니다. 연구팀은 clonal raider ant (Ooceraea biroi) 라는 개미를 대상으로 ILP2의 역할을 연구했습니다. O. biroi는 독특하게도 군집을 이루지만, 생식에 특화된 여왕개미 없이 모든 개미가 일을 하고 번식에 참여합니다.  따라서 이 개미는 애벌레를 돌보는 기간과 알을 낳는 기간이 분리되는 독특한 생활사를 지닙니다. 연구팀은 O. biroi에서 이 사이클을 조절하는 호르몬이 ILP2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ILP2의 농도는 주변에 애벌레가 있으면 줄어들고 반대로 없으면 올라가 사이클을 조정합니다.  아마도 초기 개미 군집은 이렇게 시작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효과적인 업무 분담은 생식과 나머지 작업을 나누는 일일 것입니다. 이런 역할 분담이 가능했던 이유는 이와 같은 전단계가 있었기 때문이겠죠. 물론 여왕...

2018년 2분기 실적을 공개한 인텔

(출처: 인텔)  인텔이 지난 분기 실적을 공개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거대 빈도체 제조사가 최근 험난한 일을 좀 겪긴 했지만, 여전히 업계 1위의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인텔은 2018년 2분기에 170억 달러의 매출과 50억 달러의 순이익을 올려 견실한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모든 부분에서 매출이 6-27% 증가한 점은 인상적입니다.  Intel Q2 2018 Financial Results (GAAP)   Q2'2018 Q1'2018 Q1'2017 Revenue $17.0B $16.1B $14.8B Operating Income $5.3B $4.5B $3.8B Net Income $5.0B $4.5B $2.8B Gross Margin 61.4% 60.6% 61.6% Client Computing Group Revenue $8.7B -3% +6% Data Center Group Revenue $5.5B +6% +27% Internet of Things Revenue $880M +5% +22% Non-Volatile Memory Solutions Group $1.1B +10% +23% Programmable Solutions Group $517M +4% +18%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그룹 (소비자용 CPU 및 기타 제품)의 성장세는 6% 정도로 소소한 수준이지만, 인텔의 캐쉬 카우 역할을 하는 데이터 센터 그룹 (서버, 기업 영역)의 성장세는 27%로 상당히 큰 폭으로 성장했습니다. 매출 규모도 55억 달러로 클라이언트 컴퓨팅 부분을 빠른 속도로 추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안 요소도 존재합니다. 앞서 소개한 것처럼 인텔은 202년에야 서버 부분에 10nm 공정을 도입할 계획이지만, 경쟁자인 AMD는 2019년 7nm 공정의 2세대 에픽 프로세서를 투...

살모넬라균을 억제하는 장내 미생물

( How gut bacteria reduces colonization of Salmonella(Credit: Jacobson, Monack et al, Cell Host & Microbe)  살모넬라균은 매년 수많은 사람에서 장염을 일으키는 달갑 지 않은 불청객입니다. 비록 위생 수준이 좋아지면서 선진국에서는 감염증이 줄어들긴 했어도 여전히 사라지지는 않는 세균 감염입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살모넬라균에 똑같이 감염되도 경미한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 반면 누군가는 입원해야하는 상황까지 생긴다는 것입니다.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팀은 그 이유를 설명해 줄 단서를 찾았습니다.   연구팀은 사람마다 다른 반응의 이유 중 하나가 장내 미생물에 있을 것으로 보고 쥐를 이용한 동물 모델을 통해 이를 연구했습니다. 흔한 장내 미생물 가운데 하나인 박테로이데스 Bacteroides와 살모넬라균의 상호 작용을 조사했는데 예상치 못했던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Bacteroides가 만드는 짧은 사슬 지방산 short chain fatty acid의 일종인 프로피온산 propionate이 살모넬라균 내부의 pH를 떨어뜨려 성장을 방해했던 것입니다. 따라서 Bacteroides가 많은 환경에서는 살모넬라균이 제대로 증식하기 어려웠습니다.   장내 미생물은 숙주가 먹는 여러 가지 음식물을 분해해 자신도 먹고 살고 숙주에게 유용한 물질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숙주가 살아야 자신도 살수 있는 운명 공동체기 때문에 숙주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동시에 장내 미생물은 다른 외부 침입균이 들어오지 못하게 일종의 텃세를 부리는데 이것 자체가 면역력을 제공합니다. 이번 연구는 이런 면역력의 기전에 대해 새로운 단서를 제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앞으로 살모넬라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 https://newatlas.c...

선사 시대 유럽에 살았던 초식 곰

( A complete skull and mandible of a Deninger's bear from Sima de los Huesos in Spain. Credit: Javier Trueba (Madrid Scientific Films). ) ( Micro-CT reconstructions of A) a subadult male skull of Deninger's bear from the Iberian Peninsula in different views compared to B) an adult male skull of a classic cave bear. The skulls are similar in many respects, but the cave bear skull is larger and more robust. Credit: Elena Santos (Centro Mixto UCM-ISCIII) / Taylor and Francis. )  초식곰이라고 하면 다소 이상하지만, 선사 시대 유럽에는 실제로 초식곰이 살았습니다. 초식 동굴곰 vegetarian cave bear (Ursus spelaeus)이 그 주인공으로 대략 12.5-1.2만년 전 유럽에서 주로 식물성 음식을 먹고 살았습니다. 본래 곰이 잡식 동물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그다지 놀라운 일은 아닌게 많은 육식 혹은 잡식 동물이 초식 동물로의 변신을 시도했기 때문입니다.   식물은 소화시키기 어렵지만, 대신 자연계에 대량으로 존재해 쉽게 구할 수 있는 먹이 입니다. 따라서 팬더나 고릴라처럼 본래는 초식 동물이 아니었지만, 큰 덩치를 유지할 목적으로 초식성으로 전업해 나름 성공을 거둔 동물도 많습니다. 하지만 곰이 어떤 과정을 거쳐 초식 동물로 변신을 시도했다 결국 사라지게 됐는지는 분명치 않습니다.   독일과 스페인의 과학자들은 초식 동굴곰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여겨지는 데닝거 곰 Deninger'...

인텔 아이스레이크 SP 제온은 2020년? 새 로드맵 유출

 인텔의 제온 로드맵에서 아이스레이크 SP가 2020년으로 연기되었다는 소식입니다. 2019년에서 2020년으로 연기된 이유는 10nm 공정의 지연 때문으로 보이는데, 알려진 것처럼 10nm 공정 프로세서의 성능이 예상보다 낮아 생산은 가능해도 공정 이전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는 사이 삼성이나 TSMC, 글로벌 파운드리는 인텔의 10nm 공정과 비슷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7nm 공정을 준비하고 있어 앞선 공정이라는 인텔의 큰 무기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아직 CPU와 컴퓨터 부분에서 인텔의 아성은 쉽게 무너질 수준이 아닙니다. 특히 안전성이 중요한 서버 영역에서는 한동안 인텔의 비중이 그렇게 낮아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무튼 인텔은 14nm 공정의 스카이레이크 SP 이후 이를 조금 개선한 캐스캐이드 레이크를 2019년에 투입하고 2020년에는 코퍼 레이크라는 새로운 코드 네임의 프로세서와 아이스레이크 SP를 서버 시장에 투입한다는 계획입니다.   인텔은 구체적으로 코퍼 레이크와 아이스레이크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하지 않았지만, 두 개의 제온 CPU를 로드맵에 등장시킨 이유는 그때까지도 만족스러운 10nm 공정 프로세서가 나오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플랜 B가 아닌가란 의심이 들게 만듭니다. 다만 내년에 등장할 AMD EPYC 프로세서는 7nm 공정을 도입해 아마도 더 많은 코어를 집적할 가능성이 있어 인텔 역시 급한 상태일 것입니다. 아무리 인텔이 아성이 공고해도 이런식으로 가다보면 조금씩 고객을 잃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벌써 몇 년째 이어지는 연기로 인해 CPU 시장은 실망스런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그래도 AMD가 있어 소비자가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지속적인 경쟁과 발전을 위해 인텔 역시 문제를 해결하고 빠른 시일 내 차세대 미세 공정 적용해주기를 희...

인간이 만든 가장 빠른 회전체

( A microscope image of the silica "dumbbells"(Credit: Purdue University) ) ( Using a high-powered laser, researchers at Purdue University have set a microscopic "dumbbell" spinning at 60 billion rpm, making it the fastest spinning object ever made(Credit: Purdue University/Vincent Walter) ) ( If the laser light is linearly polarized, it imparts a vibration to the suspended particles, while using circular polarization sets them spinning instead (Credit: Purdue University/Tongcang Li) )   과학자들이 세상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인공 물체를 만들었습니다. 퍼듀 대학의 연구팀은 규소 나노입자 두 개를 아령 모양으로 붙인 후 이를 분당 600억회로 회전시켰습니다. 이는 이전 기록보다 100배 가량 빠른 것입니다. 물론 모터로 나노입자를 회전시킬 순 없고 편광 레이저를 이용한 것입니다.   연구팀에 의하면 선형 편광 (linear polarIzation)을 이용하면 나노입자를 진동하게 만들 수 있고 반대로 원편광(circular polarization)을 적용하면 회전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연구팀은 후자를 적용해 입자를 빠르게 회전시켰습니다. 그런데 이런 미시 세계에서 입자를 빠르게 회전시키는 일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연구의 리더인 통캉 리 (Tongcang Li)에 따르면 이 나노미터 아령은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물리적 현상과 입자를 연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