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섭취한 설탕, 과당, 포도당 등 단순당은 흡수한 후 바로 쓰는 것을 제외하면 간에서 대사를 거쳐 아미노산 등 다른 물질 합성에 쓰이거나 장기 보존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형태로 바뀌게 됩니다. 특히 너무 많은 양의 당이 한꺼번에 들어오면 주로 지방산 (fatty acid) 형태로 바뀐 후 지방산의 저장형이라고 할 수 있는 중성지방 (Triglyceride)로 세포에 저장됩니다.
이 때 지방이 간세포에도 저장되기 때문에 결국 지방간 같은 대사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지방 세포에 저장된다고 해도 역시 비만을 유발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짧은 시간에 빠른 속도로 당을 흡수시키는 탄산음료 같은 가당 음료나 첨가당이 많이 들어간 과자, 케익류가 지방간이나 비만을 더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 만큼 적당히 먹는 지혜가 필요할 것입니다.
그런데 취리히 대학의 연구팀은 단당류나 이당류라도 종류에 따라 간에서 지방 합성을 유도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94명의 건강한 사람을 네 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단당류인 과당 (fructose), 포도당 (glucose), 그리고 이당류인 설탕 (sucrose) 섭취가 간에서 지방 생선 (lipogenesi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연구 참가자는 7주간 과당, 포도당, 설탕을 각각 80g씩 섭취하거나 혹은 대조군으로 당류 대신 인공 감미료를 섭취했습니다. 참고로 당 80g은 320kcal로 250ml 캔 기준으로는 3캔보다 약간 작은 양입니다. 상당히 많은 양이지만, 패스트푸드 섭취량이 많은 미국에서는 하루 이 정도 섭취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연구 결과 설탕과 과당을 하루 80g 음료의 형태로 섭취하는 경우 간에서 지방산 생성량은 두 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음료 형태로 섭취하는 경우 흡수가 빠르고 콜라 같은 탄산 음료의 경우 맛과 색을 내기 위한 일부 성분을 빼고 나면 나머지는 거의 물과 당류이기 때문에 넘치는 당류를 바로 지방산으로 전환하게 되는 것입니다.
사실 여기까지는 그다지 놀라운 일은 아닙니다. 이번 연구 결과에서 의외의 사실은 포도당의 경우 지방산 생성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입니다. 포도당의 경우 우리 몸에서 바로 쓸 수 있는 형태의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소비량이 많습니다. 그런 만큼 지방 생산을 촉진하는 정도가 과당보다는 덜할 수 있으나 아예 차이가 없게 나타난 점은 다소 의외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연구의 결과가 포도당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탄산 음료나 다른 가당 음료에서 특유의 강한 단맛을 내기 위해서는 결국 과당과 설탕을 많이 섞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런 가공식품이나 탄산 음료 섭취를 적당히 자제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과당이든 설탕이든 자연계에 흔하게 존재하는 물질이고 우리가 먹는 음식에 본래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위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소금처럼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라도 과다하게 섭취하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적당히 먹는 지혜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참고
https://newatlas.com/health-wellbeing/sugar-fructose-diet-fat-production-liver-metabolism/
https://www.journal-of-hepatology.eu/article/S0168-8278(21)00161-6/fulltext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