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R을 이용해 간단한 신경망 만들기 (2)



 뉴럴넷 패키지는 비교적 단순하기는 하지만 시각화 기능도 제공합니다. 앞서 간단한 예제에서 좀 더 다양한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여제는 동일합니다. 


x<-seq span="">
set.seed(4567)
b<-rnorm span="">
y=3*x+b
y

model=lm(y~x)
summary(model)

data1<-as .data.frame="" span="" x="">
data2<-as .data.frame="" span="" y="">
data3<-cbind data1="" data2="" span="">

data3$pred=2.96*data3$x+22
data3$error=data3$pred-data3$y
summary(data3)


 뉴럴넷 패키지를 불러내 예제를 실행시킵니다. 


library(neuralnet)

fit<-neuralnet data="data3," fit2="" hidden="c(3,3)," span="" stepmax="1e6)" threshold="0.08" x="" y="">
pred<-compute fit="" span="" x="">

시각화는 간단히 plot으로 할 수 있습니다. 

plot(fit)




 이 그림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입력 (x)는 하나 뿐이고 출력도 하나 뿐이며 (y) 은닉층은 2개이고 총 240762단계를 거쳐 적합했다는 사실입니다. 에러의 합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숫자는 해석이 좀 어려운데 뉴런 간의 양 혹은 음의 상관성을 보여줍니다. 솔직히 말하면 알고리즘을 개선하는데 그렇게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에러가 작고 단계가 작은 모델이 더 빠르고 정확할 것입니다. 아무튼 여기서 간단한 방법으로 신경망을 더 깊게 만들 수 있습니다. DNN (Deep Neural Network)의 층을 깊게 만드는 방법은 그냥 한 층 더 써주는 것 뿐입니다. 


fit2<-neuralnet data="data3," hidden="c(3,3,3)," stepmax="1e6) </span" threshold="0.08" x="" y="">
pred<-compute fit2="" span="" x="">

> fit2<-neuralnet data="data3," hidden="c(3,3,3)," stepmax="1e6) </span" threshold="0.08" x="" y="">
Warning message:
algorithm did not converge in 1 of 1 repetition(s) within the stepmax 


 이런 메세지가 뜨면 stepmax 값을 조정해 주어야 합니다. 


 fit2<-neuralnet data="data3," hidden="c(3,3,3)," stepmax="1e7) </span" threshold="0.08" x="" y="">


 그런데 이렇게 해보면 결국 값을 찾지 못하고 계속해서 시간을 끄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간단한 예제를 실행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면 솔직히 좋은 방법이 아닌 것이죠. 이 경우 은닉층 (hidden)의 숫자를 줄이는 것이 합리적인 해결책입니다. 


 은닉층의 수를 늘려 더 깊은 (deep) 신경망을 만드는 것은 복잡한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결국 더 많은 연산 능력을 요구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원하는 답을 찾지 못하고 시간을 끄는 문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딥러닝이라고 해서 무조건 뉴런의 수를 늘리고 층을 많이 만드는 것은 단순히 시간 낭비에서 끝나지 않고 성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아무튼 여기서 뉴럴넷의 기본 옵션을 더 확장해서 사용해 보겠습니다. 


f=y~x

fit<-neuralnet f="" span="">
               data=data3, 
               hidden=c(3,3),
               algorithm = "rprop+",
               err.fct = "sse",
               act.fct = "logistic",
               threshold = 0.08,
               stepmax=1e6,
               linear.output = TRUE)

fit

plot(fit)


 모델의 공식은 neuralnet() 안에 넣을 수도 있지만, 만약 복잡한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 f=y~x+.... 하는 식으로 만들어 넣는 것도 더 간결한 모델을 위한 방법입니다. 알고리즘의 경우 기본적인 역전파 알고리즘 (backprop)보다 더 강건한 알고리즘인 resilient backpropagation with backtracking (rprop+) 이 기본이고 오차 함수 (err.fct)는 기본이 sse (sum of squared errors) 입니다. 마지막으로 임계치 0.08에 로지스틱 함수가 적용되고 stepmax는 1e5가 기본이지만, 1e6을 쓰는 것이 더 좋기 때문에 수정했습니다. 


algorithm
a string containing the algorithm type to calculate the neural network. The following types are possible: 'backprop', 'rprop+', 'rprop-', 'sag', or 'slr'. 'backprop' refers to backpropagation, 'rprop+' and 'rprop-' refer to the resilient backpropagation with and without weight backtracking, while 'sag' and 'slr' induce the usage of the modified globally convergent algorithm (grprop). 

err.fct
a differentiable function that is u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error. Alternatively, the strings 'sse' and 'ce' which stand for the sum of squared errors and the cross-entropy can be used.

act.fct
a differentiable function that is used for smoothing the result of the cross product of the covariate or neurons and the weights. Additionally the strings, 'logistic' and 'tanh' are possible for the logistic function and tangent hyperbolicus.


 기본 옵션은 당연히 가장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것들의 모임이기 때문에 수정해도 더 좋은 결과를 얻기는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수정하는 것이 더 유리할수도 있습니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여러 가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무튼 결론은 아래와 같은 것이죠. 

$data
    x            y   pred         error
1   1  19.32087507  24.96  5.6391249299
2   2  21.48726966  27.92  6.4327303370
3   3  30.26207572  30.88  0.6179242799
4   4  35.07512927  33.84 -1.2351292690
5   5  41.77267197  36.80 -4.9726719682
6   6  46.01159271  39.76 -6.2515927149
7   7  43.21601820  42.72 -0.4960181969
8   8  45.05702925  45.68  0.6229707451
9   9  45.23831404  48.64  3.4016859563
10 10  57.63100882  51.60 -6.0310088222
11 11  60.59327016  54.56 -6.0332701591
12 12  62.15587921  57.52 -4.6358792125
13 13  57.29347172  60.48  3.1865282758
14 14  63.74009627  63.44 -0.3000962681
15 15  65.51689005  66.40  0.8831099451
16 16  69.73028132  69.36 -0.3702813150
17 17  71.87927221  72.32  0.4407277887
18 18  78.99739051  75.28 -3.7173905083
19 19  68.72797008  78.24  9.5120299247
20 20  72.78345121  81.20  8.4165487874
21 21  83.92176640  84.16  0.2382335953
22 22  85.06538727  87.12  2.0546127307
23 23  88.73498412  90.08  1.3450158799
24 24  95.38498261  93.04 -2.3449826076
25 25 103.60640064  96.00 -7.6064006413
26 26 103.78633665  98.96 -4.8263366466
27 27 100.89600437 101.92  1.0239956334
28 28 105.52632525 104.88 -0.6463252532
29 29 107.09607757 107.84  0.7439224349
30 30 108.25762910 110.80  2.5423708974
31 31 121.62643622 113.76 -7.8664362212
32 32 115.42910107 116.72  1.2908989302
33 33 116.61657742 119.68  3.0634225792
34 34 127.87461446 122.64 -5.2346144593
35 35 129.38990366 125.60 -3.7899036572
36 36 122.48552181 128.56  6.0744781930
37 37 126.29130943 131.52  5.2286905742
38 38 133.94008492 134.48  0.5399150841
39 39 137.22070921 137.44  0.2192907912
40 40 140.97469733 140.40 -0.5746973328
41 41 139.44565008 143.36  3.9143499243
42 42 147.52457677 146.32 -1.2045767736
43 43 152.29635326 149.28 -3.0163532649
44 44 146.52300615 152.24  5.7169938456
45 45 158.18120293 155.20 -2.9812029311
46 46 160.60867608 158.16 -2.4486760753
47 47 163.04301396 161.12 -1.9230139580
48 48 161.12585790 164.08  2.9541421018
49 49 173.63881825 167.04 -6.5988182540
50 50 167.17087291 170.00  2.8291270883


 신경망이 어느 정도 실제와 유사한 값을 예측하기는 하지만, 이보다 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기서 적극 노력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실제 현실에서 보기 힘든 예제이기 때문이죠. 다음에는 좀 더 현실적인 예제를 다뤄보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R 스튜디오 설치 및 업데이트

 R을 설치한 후 기본으로 제공되는 R 콘솔창에서 코드를 입력해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그렇게 하기 보다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R 개발환경인 R 스튜디오가 널리 사용됩니다. 오픈 소스 무료 버전의 R 스튜디오는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며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R을 위한 IDE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www.rstudio.com/  다운로드 R 이나 혹은 Powerful IDE for R로 들어가 일반 사용자 버전을 받습니다. 오픈 소스 버전과 상업용 버전, 그리고 데스크탑 버전과 서버 버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오픈 소스 버전에 데스크탑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상업 버전의 경우 데스크탑 버전의 경우 년간 995달러, 서버 버전은 9995달러를 받고 여러 가지 기술 지원 및 자문을 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버전을 설치하는 과정은 매우 쉽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인스톨은 윈도우, 맥, 리눅스 (우분투/페도라)에 따라 설치 파일이 나뉘지만 설치가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이라면 R은 사전에 반드시 따로 설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R 스튜디오만 단독 설치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죠.   설치된 R 스튜디오는 자동으로 업데이틀 체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R 스튜디오에서 Help 로 들어가 업데이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업데이트 할 내용이 없다면 최신 버전이라고 알려줄 것이고 업데이트가 있다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R의 업데이트와 R 스튜디오의 업데이트는 모두 개별적이며 앞서 설명했듯이 R 업데이트는 사실 기존 버전과 병행해서 새로운 버전을 새롭게 설치하는 것입니다. R 스튜디오는 실제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기 때문에 구버전을 지워줄 필요는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신생대에 박쥐가 등장하면서 플로팔랑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