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공룡도 베르그만의 법칙을 따를까?

  (Nanuqsaurus, standing in the background, and pachyrhinosaurus, skull in the foreground, were among the dinosaur species included in a new study led by scientists at the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and the University of Reading that calls into question Bergmann's rule. Credit: Art by James Havens, CC BY-NC-ND) ​ ​ ​ 19세기 독일의 생물학자인 칼 베르그만은 같은 종류의 동물이라도 극지방으로 갈수록 몸집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예를 들어 열대 지방에 살고 있는 말레이 곰은 크기가 작지만, 북극곰은 곰 가운데 가장 큽니다. ​ ​ 베르그만의 법칙 (Bergmann's rule)은 포유류나 조류 같은 항온동물에서 그 사례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추운 환경에서 몸집이 클수록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작아져 체온을 유지하는데 유리한 반면 더운 환경에서는 반대의 상황이 생깁니다. 사실 더운 건 어떻게 적응한다고 해도 추운 건 에너지를 써서 온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몸집을 최대한 키우는 것이 생존에 유리해집니다. ​ ​ 그렇다면 적어도 일부는 항온동물이었을 가능성이 높고 일부는 중온동물일 것으로 생각되는 공룡은 어땠을까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알래스카 대학 페어뱅크와 리딩 대학의 연구팀은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 ​ 알래스카 대학의 로렌 윌슨 (Lauren Wilson)은 공룡이 발굴된 가장 고위도 지역인 알래스카의 프린스 크릭 지층 (Prince Creek Formation)의 공룡을 분석해 이들이 베르그만의 법칙를 따르는지 분석했습니다. 알래스카는 당시에도 고위도 지역이었기 때문입니다. ​ ​ 분석 결과 공룡이 베르그만의 법칙을 따른다는
최근 글

식이 섬유를 얼마나 먹어야 혈압을 낮출 수 있을까?

  식이섬유는 인체에서 거의 소화되는 부분이 없는 식물성 섬유이지만, 최근에는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이 알려져 주목받고 있습니다. ​ ​ 식이섬유는 우리 몸에 유익한 장내 미생물의 먹이가 됩니다. 이들이 식이섬유를 분해하고 내놓는 짧은 사슬 지방산과 다른 영양소는 우리 몸에 흡수되어 유용하게 쓰입니다. ​ ​ 물론 대부분의 식이섬유는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장운동을 자극하고 대변이 나가는 속도를 빠르게해 변비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이 과정에서 나쁜 물질을 배출해 장의 염증을 줄이고 암 위험도도 낮추는 것으로 보입니다. ​ ​ 식이섬유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지만, 심혈관 질환 감소에 도움에 된다는 사실도 이전부터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고혈압의 예방과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 호주 모니쉬 대학의 프랜신 마퀴스 (Francine Marques)가 이끄는 연구팀은 메타 분석을 통해 혈압을 떨어뜨리기 위해 구체적으로 얼마나 많은 식이 섬유를 먹어야 하는지 검증했습니다. ​ ​ 그 결과 고혈압이 있는 여성에서는 하루 28g, 남성에서는 하루 38g의 식이 섬유 섭취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양적으로 보면 하루 5g씩 추가로 섭취하면 수축기 혈압 2.8mmHg, 이완기 혈압 2.1mmHg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식이 섬유가 혈압을 낮추는 기전은 아직 100% 이해되지는 않고 있지만, 장내 미생물 환경을 우호적으로 바꾸고 이들이 만들어 내는 짧은 사슬 지방산이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 아무튼 적절한 식이 섬유 섭취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연구 결과 같습니다. ​ ​ 참고 ​ ​ https://newatlas.com/health-wellbeing/dietary-fiber-high-blood-pressure/ ​ https://www.ahajournals.org/doi/10.1161/HYPERTENSIONAHA.123.22575 ​

머리보다 큰 눈을 지닌 왕눈이 벌레의 비밀

  (Marvelous eyes, but you be the judge of this sea critter's beauty. Vanadis is a byname of the Norse goddess of love, Freya.Photo: Michael Bok. Credit: Michael Bok) ​ ​ 눈은 인간에게 매우 소중한 장기입니다. 인간은 시력에 많은 것을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점을 생각하면 인간의 눈은 특별히 더 크지는 않습니다. 인간 자체가 큰 동물이기 때문에 좋은 시력을 위해 신체 크기 대비 엄청나게 큰 눈은 필요 없기도 하고 밝은 낮에 생활하는 동물이라 특별히 더 커질 이유가 없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 하지만 자연계에는 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눈이 큰 동물이 있습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작은 해양 무척추동물 중 하나인 바나디스 브리스틀 (Vanadis bristle)은 머리의 나머지 부분보다 훨씬 큰 한쌍의 눈을 지니고 있는 왕눈이 벌레입니다. ​ ​ 코펜하겐 대학의 앤더스 감 (Anders Garm from the University of Copenhagen's Department of Biology)과 룬드 대학의 마이클 복 (Michael Bok at Lund University)은 이탈리아 남부 폰자 (Ponza) 섬에 살고 있는 이 왕눈이 벌레의 눈을 연구했습니다. ​ ​ 바나디스는 투명한 몸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붉은 색으로 보이는 눈에 잘 띄는 큰 눈은 사실 생존에 불리한 조건입니다. 더구나 이 벌레는 야행성으로 눈을 많이 쓰지 않을 것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 주로 활동하기 때문에 시력에 많이 의존한다는 것이 의아한 상황입니다. ​ ​ 연구팀은 바나디스의 거대한 눈이 꼭 필요한 이유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왕눈은 단지 좋은 시력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남들이 보기 힘든 파장의 빛인 자외선 파장의 빛을 보기 위한 것입니다. 야행성 동물이 자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