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200만년 전 오스트리아에 살았던 돌고래



 (Fossil dolphin Romaleodelphis pollerspoecki. Credit: Manuela Schellenberger, SNSB-BSPG)




(Discover the largest lake ever! An infographic highlighting the dramatic history of megalake Paratethys and its exotic environments. The European continent looked very different from today at the beginning of the late Miocene, around 11 million years ago. The most impressive feature was probably the Paratethys – a water body stretching from the Eastern European Alps to regions that today belong to Kazakhstan. This megalake formed by raising central Europe’s mountain ranges, separating the Paratethys from the ocean and making it the largest lake ever. At its peak, Paratethys stretched over an area of around 2.8 million square kilometers, filled with more than 1.8 million cubic kilometers of brackish water. This is more than ten times the volume of all current salt- and freshwater lakes combined. Paratethys was characterized by a unique endemic fauna, including Cetotherium riabinini – the smallest whale ever found in fossil records. Paratethys went through multiple hydrological crises and desiccation periods. During the most severe crisis, the megalake lost more than two-thirds of its surface and one-third of its volume, with water levels dropping by as much as 250 meters. This had devastating impacts on the endemic fauna and many species became extinct. This infographic is based on an article Published in Nature Scientific Reports in 2021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1-91001-z)




(Palaeogeographical reorganization of the Tethys–Paratethys region during the Paleogene, from a connected Tethys configuration during the early Eocene (above) to a fragmented and restricted Paratethys region configuration during the Oligocene (below). Note the loss of deep-water connections between the Indian Ocean region and the Mediterranean, the complete loss of Indian–Arctic Ocean connections, and the closure of most of the Eocene seaways in the Oligocene time. Palcu, D. V & Krijgsman, W. The dire straits of Paratethys: gateways to the anoxic giant of Eurasia. Geol. Soc. London, Spec. Publ. 523, SP523-2021–73 (2023). doi:10.1144/SP523-2021-73)

지금으로부터 3400만년 전 유럽과 아시아 대륙 사이에 지중해보다 큰 내해가 형성되었는데, 이를 파라테테스 (Paratethys) 해라고 부릅니다. 파라테티스는 알프스 산맥과 다른 지각이 이동하면서 모양이 계속 바뀌다가 결국 카스피해, 아랄해, 흑해 등의 단편적인 내해를 남기고 사라졌습니다. 그리과 과거 파라테테스해 가운데 일부는 융기해서 알프스 산매의 일부를 이루고 있습니다.

현재의 카스피해가 그렇듯이 파라테티스해에는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생물들이 다수 진화했습니다. 이 가운데는 고래나 돌고래도 존재합니다. 독일 바바리아주 고생물학 및 지질학 연구소 및 뮌헨 대학, 젠켄베르크 연구소, 프랑크프루트 자연사 박물관 (Bavarian State Collection of Paleontology and Geology (SNSB-BSPG), Ludwig-Maximilians-University in Munich, Senckenberg Research Institute and Natural History Museum Frankfurt)의 과학자들은 1980년대 오스트리아에서 개인 화석 수집가에 의해 발굴되어 박물관에 기증된 화석을 분석해 2,200만 년 전 파라테티스해에 살았던 원시적인 돌고래라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 화석은 102개의 이빨과 긴 주둥이, 그리고 심하게 파편화된 두개골로 이뤄져 있었는데, 조심스럽게 화석들을 CT로 스캔하고 컴퓨터로 재구성한 결과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로말레오델피스 폴러스포엑키 (Romaleodelphis pollerspoecki)라고 명명된 신종 돌고래가 현재의 쇠돌고래처럼 아주 높은 주파수를 들을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덕분에 다른 포식자들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에서 의사 소통이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로말레오델피스가 현생 쇠돌고래의 조상은 아닙니다. 연구팀은 이 돌고래가 멸종된 원시적 돌고래인 칠카세투스 (Chilcacetus)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했습니다. 초음파 영역에서 의사소통 하는 능력은 일종의 수렴진화로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2200만년 전이면 이미 고래가 물에 들어온지도 수천만 년이 지난 후이기 때문에 이렇게 고도로 진화할 충분한 시간이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런 내용보다 과거 유라시아 대륙 내부에 지중해만큼 큰 내해가 또 존재했다는 사실이 더 흥미롭습니다. 이곳에서 독특한 생물들이 다수 진화했다가 환경 변화에 의해 사라졌을 텐데, 앞으로 더 흥미로운 발견들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4-11-archaic-dolphin-high-frequency.html

https://en.wikipedia.org/wiki/Paratethys

Catalina Sanchez-Posada et al, Romaleodelphis pollerspoecki , gen. et sp. nov., an archaic dolphin from the Central Paratethys (Early Miocene, Austri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24). DOI: 10.1080/02724634.2024.2401503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