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16의 게시물 표시

2016년 한 해 정리

 나이가 들수록 세월이 빨리 간다고 했는데, 지금 제가 그런 상황인 것 같습니다. 크게 성취한 것은 없는데 역시 시간은 순식간에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개인적으로 2016년은 변화가 있는 한해이긴 했습니다.  일단 블로그는 과거보다 비중이 줄었습니다. 아무래도 다른 하는 일이 많아지다보니 블로그에만 집중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던 것이죠. 여기에다 네이버 서비스가 다변화 되면서 블로그 유입 인구가 과거보다 줄어들었습니다. 작년에는 하루 8000명 정도였다면 지금은 5000명 정도인데, 여전히 아주 많은 숫자이지만, 과거보다는 줄어든 셈이죠.  다만 다른 할 일이 많다보니 여기에 신경이 쓰이지는 않고 있습니다. 사실 그보다는 여전히 많은 분들이 방문해 주시니 감사히 여기고 있습니다. 5000명으로 방문자가 줄었네 보다는 5000명이나 되는 분이 방문해 주시고 있다는 점을 감사해야 하는 게 맞겠죠. 더구나 블로그의 주제가 과학 쪽으로 확실하게 쏠리면서 독자가 빠져나갈 수 있는데도 그렇다는 것은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부분 같습니다.  블로그 쏟는 시간 대신 많은 시간을 쏟는 부분은 연구 쪽입니다.  2016년은 연구에 있어서는 대박을 터트리지는 못해도 연구가 본 궤도로 접어드는 것 같은 한 해 였습니다. 올해 10편 정도 논문을 쓰기로 결심했는데, 실제로 비슷한 성과를 거뒀습니다. 다만 게재가 확정되었거나 게재된 논문은 5편 정도입니다. SCI 논문 3편과 SCIE 논문 2편이고 각각 1저자 3편과 교신 저자 2편인데 모두 IF 5점 이하이지만, 과거보다는 확실히 게재 논문 자체가 늘어나면서 (아직은 영어가 여전히 부족하지만) 논문 쓰기도 더 익숙해지는 것 같습니다.  11월에서 12월 사이에도 벌써 논문 2편을 새로 써서 투고한 상태이고 지금도 새로 쓰고 있는데, 내년에도 비슷한 속도로 논문을 써서 5년, 10년 후에는 순환기 /소화기/ 내분비 역학(epidemiology...

우주 이야기 610 -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발견된 여러 개의 고리를 지닌 별

(Structures detected in the disk of HIP 73145. Left: The features under discussion are denoted with semi-transparent rings and labeled B1, B2, B3E, and B3W. The black mask covers the area that is too close to the coronagraph and the large negative ADI artifacts. Right: Intensity of all pixels in the image to the left plotted versus their radial separation from the center. The dark blue line is formed by applying a 100 point wide running mean to all pixel intensities after sorting according to their distance to the center. The light-blue shaded area represents the standard deviation across 100 neighboring points at each separation. The two major features B1 and B2 are easily identified. The B3 feature is less obvious, as it is close to the inner edge of the usable area and not circular. Credit: Feldt et al., 2016. )​  과학자들이 지구에서 400광년 정도 떨어진 어린 별 주변에서 다수의 고리 구조를 확인했습니다. 막스 플랑크 천문학 연구소의 마르쿠스 펠트 (Markus Feldt of the Max Planck Institute for Astronomy)와 그의 동료...

드론 모선을 구상하는 아마존

( A diagram of the proposed system, featuring an aerial fulfillment center (302), its drones (312) and a shuttle (350),  Each airship would be stocked with an inventory of commonly-ordered goods, along with a fleet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Credit: Amazon )​ ​ ​  아마존의 현재 진행 중인 드론 배송 시스템과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공중 모선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이는 미 특허청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에 아마존 테크놀로지사 명의로 등록된 새로운 특허 신청을 통해서 밝혀졌습니다.   아마존은 드론을 이용한 신속 자율 배송에 큰 기대를 걸고 있지만, 드론을 이용한 배송에는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문제 가운데 하나는 드론의 비행 거리가 대부분 짧아서 장거리 배송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airborne fulfillment centers" (AFCs)라고 불리는 드론 모선은 거대한 비행선으로 13,716 m 상공에 다수의 드론 및 화물을 적재한 움직이는 드론 물류 센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대도시 상공에 띄어놓으면 아주 빠른 속도로 활강해서 물건을 배송하고 다시 지상 물류 센터로 집결하는 방식인 것입니다.    물론 특허가 모두 제품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상 자체는 흥미롭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거대 드론 모선을 실제로 띄우는 일은 물류 산업과 전자 상거래의 거인인 아마존도 쉽지 않을 것입니다. 보통 상업화가 쉽지 않은 기술의 특허를 신청하는 이유는 미래에 있을지도 모르는 특허 소송에서 자신을...

무인 드론 군단을 구상중인 DARPA

DARPA (미국 방위 고등연구계획국)​이 100대 이상의 드론을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군단 (swarm)을 개발하는 연구과제를 선정했습니다. OFFensive Swarm-Enabled Tactics (OFFSET) 프로그램이라고 명명된 이 프로젝트는 100대 이상의 지상 혹은 공중 드론을 이용해서 정찰 및 수색, 전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것입니다. ​ ​  현재 다양한 공중 드론과 원격 조종 로봇들이 지상, 바다, 공중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원격으로 조종하는 것으로써 이를 조종해서 임무를 수행하는데 상당히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습니다. DARPA가 원하는 것은 한 대의 로봇이 이니라 로봇 군단을 컨트롤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  이는 마치 게임에서 그룹 유닛을 컨트롤 하는 방식과 유사한데, 실제로 필드 테스트를 하기 전 네트워크 가상 환경을 만든 후 여기서 다양한 유닛을 컨트롤하는 방식을 개발할 것이라고 합니다. 일종의 전략 게임과 비슷한 방식이죠. 물론 가상 환경에서 인공지능에 의해 작동하는 드론들이 적절하게 움직일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이 우선적인 목표입니다. 실제 목표는 진짜 환경에서 움직일 수 있는 드론 군단을 개발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이용해서 적을 수색하고 전투를 벌이는 것은 그 다음 이야기입니다. ​ ​  오프셋 프로그램이 얼마나 빨리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다수의 로봇을 인간이 통제하는 상황이 온다면 미래전의 모습을 크게 바꿔놓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한 명의 병사보다 다수의 드론을 배치할 수 있을 테니까요. ​  다만 오프셋 프로젝트는 아직 개념 구상 단계로 프로젝트가 순항한다고 해도 결과물을 내놓기 까지는 꽤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과연 SF 영화나 게임에서보는 것 같은 미래전이 현실이 될 것인지 궁금합니다. ...

태양계 이야기 578 - 생생하게 포착된 토성의 북극

( Image Credit: NASA/JPL-Caltech/Space Science Institute )  카시니 탐사선은 앞서 몇 차례 소개드린 것과 같이 2017년 임무 종료 직전에 마지막 임무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현재는 토성의 F 고리 안쪽으로 들어와 토성의 극지방과 고리를 상세하게 관측 중입니다. 위의 사진은 다소 앞서 시점인 2016년 9월 9일 촬영된 것으로 마침 햇살을 받아서 명확하게 보이는 토성의 북반구가 촬여되어 있습니다.   이 사진에서 목성보다는 선명하지 않지만, 토성의 표면의 줄무늬가 비교적 선명하게 드러나있으며 무엇보다 토성 대기의 가장 큰 미스터리인 거대 육각 구름의 모습이 선명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지구보다 더 큰 이 거대한 육각 구름은 목성의 유명한 대적점과 함께 태양계 대기 현상의 가장 신비한 장면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습니다.   자세히보면 육각형 구름 내부와 그 주변에 마치 작은 점처럼 보이는 소용돌이의 모습도 같이 보이고 있습니다. 토성의 크기를 고려하면 이 작은 점들은 엄청난 크기의 소용돌이 폭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토성의 빠른 자전과 여러 층의 가스로 되어 있는 대기 구조 덕분에 상층 대기에는 계속해서 빠른 바람과 폭풍이 불면서 이런 신비로운 모습을 만들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촬영은 근적외선 영역 파장인 728nm 에서 이뤄졌으며 우리가 보통 보는 가시광 사진에서는 볼 수 없는 토성 대기의 디테일이 잘 살아있습니다. 촬영 거리는 120만km이고 픽셀당 74km 수준 해상도입니다. 이제 카시니의 탐사가 마지막 단계로 접어듬에 따라 당분간 이런 영상을 촬영할 기회가 없기 때문에 더 귀하게 보이는 사진인 것 같습니다.   참고  https://www.nasa.gov/image-feature/basking-in-light

120만년 전에도 이쑤시개를 사용했을까?

 인류와 그 조상 그룹이 언제 이쑤시개를 사용해서 이빨 사이의 음식물 찌거기를 제거했는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작은 나뭇가지나 뼈조각을 쪼개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화석화되기가 매우 어렵고 작은 조각이 발견된다해도 이쑤시개 용도였는지 확인하기 난감하기 때문입니다.   최근 스페인 북부에서 발견된 120만년 전의 호미닌(hominin)의 치아 화석은 어쩌면 이 시기에 이미 이쑤시개와 비슷한 것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카렌 하디( Karen Hardy. She's with the Catalan Institute for Research and Advanced Studies and the Universtat Autonoma de Barcelona in Spain )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이 화석 이빨의 형태와 치석 등의 형태를 면밀히 검토해 이들이 주기적으로 이쑤시개로 찌거기를 제거해왔다는 가설을 제시했습니다.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뼈 가운데 가장 단단하고 화석으로 남기 쉬운 부분은 이빨입니다. 비록 이빨에 들어있는 정보는 제한적이긴 하지만, 크기에 비해서 매우 중요한 정보가 담긴 부분이기도 합니다. 특히 무엇을 어떻게 먹고 살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당시 유럽으로 건너온 초기 호미닌은 호모 에렉투스와 근연종인 호모 에르가스터  (Homo ergasther)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이빨의 주인공인 호미닌은 아직 불을 이용해서 음식물을 요리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빨에 거친 음식을 먹었던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쑤시개를 사용해서 찌거기를 제거할 수 있는 지능을 지녔을 수 있습니다.   다만 앞으로 이것이 확실히 이쑤시개의 증거가 맞는지를 검증할 필요는 있을 것입니다. 이전 연구에서 가장 오래된 이쑤시개 사용의 증거는 4.9만년 전 네안데르탈인의 ...

카비레이크 + 옵테인 SSD 곧 출시된다

(레노보 T570)  예상보다 빠르게 3D Xpoint 를 사용한 옵테인 SSD 탑재 노트북이 등장할 것 같습니다. 아난드텍에 의하면 2017년에 나올 씽크패드 라인업에 옵테인 SSD를 캐쉬로 사용하는 제품군이 대거 등장할 것이라고 합니다. 단 DIMM은 아니고  M.2 2242 폼펙터를 사용하는 NVMe PCIe SSD이라고 하네요. 용량은 16GB가 기본이고 64GB 까지 늘릴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아마도 가격 문제로 16GB가 대세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리 옵테인이 빠르다고해도 16GB라면 너무 작은 용량이 아닌가 생각할 수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단독 드라이브가 아니라 하드디스크 캐시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1TB HDD와 함께 사용해서 용량과 체감 속도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방식입니다. 과거 낸드 기반의 SSD도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방식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적용 모델은 ThinkPad T470p, L470, L570, T470, T570 이라고 하네요.   옵테인 SSD는 128Gb 다이를 사용해서 한 개나 혹은 두 개의 다이만 들어있는 매우 작은 M.2 폼펙터의 SSD로 장착될 것입니다. 속도는 기존의 SSD와 DRAM 사이 중간 정도지만, 캐쉬로 사용되므로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라 자주 사용되는 운영체제 파일이나 혹은 웹브라우저 같은 소프트웨어가 될 것입니다. 16GB는 매우 작은 용량이지만, 낸드 플래시와는 달리 내구성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하네요. 옵테인 SSD는 카비레이크 CPU 및 200시리즈 칩셋과 함께 나올 것입니다.   실제 물건이 나와봐야 평가가 가능하겠지만, 아무튼 낸드 플래시를 대신할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시시장에 인텔이 먼저 뛰어든 점은 분명해 보입니다. 아직 낸드 플래시 대비 가격도 비싸고 초기 기술이라 성능도 획기적이진 ...

우주 이야기 609 - 외계인에게 메세지 남기기

 외계인 찾기는 사실 과학과 비과학의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넘는 분야로 여겨집니다. 물론 과학자들은 단순한 미생물을 포함해서 외계 생명체를 찾고 있고 우리와 비슷하거나 더 진보된 기술을 가진 외계인이 존재할 가능성은 항상 열려있습니다. 문제는 그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일이죠. 증명하기 힘든 일을 오랜 세월 연구한다는 것은 과학자들에게 매우 곤혹스런 일입니다.    지난 수십 년간 SETI를 비롯한 여러 단체와 과학자들이 외계인으로 신호로 의심될만한 신호를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론적으로 믿을 만한 신호를 검출하는데 실패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과연 우리가 신호를 외계인에게 보내기 위해서 노력했는지 질문해볼 필요도 있습니다.   지구에서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나 TV 및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전파는 출력이 약해서 사실 태양계 저편에서도 수신하기가 어렵습니다. 앞서 나사의 딥 스페이스 네트워크에서 설명했듯이 거대한 안테나를 이용해서 한 방향으로 강력한 전파를 보낸다고 해도 거리에 따라 전파가 크게 퍼지기 때문입니다.   참고 :  http://blog.naver.com/jjy0501/220852383211  이 점을 고려하면 우리가 의도적으로 신호를 보낸다고 해도 사실 외계 행성에 있는 과학자가 이를 알아채기는 쉽지 않습니다. 우리가 사용한 전파를 저 멀리 우주에서 우연히 검출하는 일은 더 어렵다는 이야기죠.   이런 이유에서 지금까지 주변 별을 향해 다양한 전파 메세지가 방출되었습니다. SETI는 이 작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METI (Messaging Extra Terrestrial Intelligence) 라는 별도의 기구를 설립했습니다. 연간 100만 달러 정도의 예산을 들여 저 멀리 다른 행성에 Hello라는 메세지를 보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저...

미국 연간 의료비 지출은 2.1조 달러 - 당뇨가 지출 1위

(Animated GIF revealing trends in personal health spending in the US from 1997 to 2013. Credit: IHME)​ ​ ​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의료비를 지출하고 있는 미국의 의료비 지출 규모가 2013년에 2.1조 달러에 달했던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1996년의 1.2조 달러 대비 9000억 달러가 증가한 셈인데, GDP 및 인구 증가 대비 의료비 지출 증가 속도가 다소 빠른 점은 미국 뿐 아니라 모든 선진국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서 특별할 것은 없는 내용입니다. ​ ​  다만 액수가 엄청난 데, 연구팀은 사실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구입하는 약품이나 개인이 지출하는 집계되지 않은 추가 비용이 대략 3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면 총 의료비 지출 규모는 실제로는 2.4조 달러입니다. 이는 WHO 통계인 GDP의 17%보다는 다소 낮은 편입니다. 물론 그래도 엄청난 비용이고 다른 나라 대비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 ​  선진국은 물론 신흥국에서도 평균 수명이 크게 증가하면서 인구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로 인해 점차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는 추세인 점은 여러 나라에서 공통된 추세입니다. 특히 미국은 선진국 가운데는 드물게 국가 의료보험 시스템 대신 민간 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비용을 통제할 수단이 마땅치 않아서 의료비가 비싼 것으로 유명합니다. ​  이번 연구는 워싱턴 대학의 보건 계량학 및 평가 연구소의 요셉 딜리만 교수 (Dr. Joseph Dieleman, lead author of the paper and Assistant Professor at the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IHME) at the University of Washin...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나노와이어

(This animation shows molecular building blocks joining the tip of a growing nanowire. Each block consists of a diamondoid -- the smallest possible bit of diamond -- attached to sulfur and copper atoms (yellow and brown spheres). Like LEGO blocks, they only fit together in certain ways that are determined by their size and shape. The copper and sulfur atoms form a conductive wire in the middle, and the diamondoids form an insulating outer shell. Credit: SLAC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 ​ (Fuzzy white clusters of nanowires on a lab bench, with a penny for scale. Assembled with the help of diamondoids, the microscopic nanowires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because the strong mutual attraction between their diamondoid shells makes them clump together, in this case by the millions. At top right, an image made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s nanowire clusters magnified 10,000 times. Credit: SEM image by Hao Yan/SIMES; photo by SLAC National Accelerator La...

배우 캐리 피셔 별세 - 포스와 영원히 함께 하길

    영화 스타워즈의 레아 공주역으로 가장 잘 알려진 여배우 캐리 피셔(Carrie Fisher)가 비행기 안에서 발생한 심장 마비로 숨을 거뒀다는 소식입니다. 당시 비행기에 탑승한 의사가 응급 심폐 소생술을 한 후 로널드 레이건 UCLA 의료 센터로 급히 이송했으나 결국 깨어나지 못했다고 합니다. 올해 60세인 점을 감안하면 너무 빠른 임종입니다.   고인은 1975년 영화계에 첫 발을 들여놓기 전부터 연극과 TV에서 배우로 활약했으며 1977년 개봉한 스타워즈에서 독특한 머리 모양을 한 레아 공주 역으로 나와 일약 스타가 되었습니다. 다만 당시 레아 공주의 이미지가 너무 강했는지, 이후에도 많은 영화 및 TV 프로에 출연했지만 우리에게는 레아 공주로 영원히 기억된 배우이기도 했습니다.   이점은 해리슨 포드를 제외한 다른 스타워즈 출신 배우들도 비슷했던 것 같습니다. 마크 해일 역시 제다이 기사 루크 스카이워커의 이미지가 매우 강해서 다른 배역은 뭐가 있는지도 잘 기억나지 않으니까요. 그만큼 스타워즈는 시대를 풍미했던 작품이었습니다.   그런만큼 새 스타워즈 시리즈에 고인이  출연한 것은 매우 다행한 일이기도 했습니다. 비록 이제는 나이가 많이 들었지만, 마크 헤일과 해리슨 포드, 캐리 피셔가 다시 등장한 것만으로 관객들은 오리지널 3부작 스타워즈의 향수를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번 불행한 사고로 인해 2017년 개봉 예정인 스타워즈 에피소드 8이 마지막 출연작이 된 점은 매우 슬픈 일입니다. (불행 중 다행인 점은 영화 촬영을 이미 다 마무리했다고 하네요) 많은 팬들이 레아 공주의 마지막을 기념하는 작품을 보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오래 사셔서 스타워즈 개봉 50주년, 60주년에 그 때 그 시절의 이야기를 해주시길 바랬는데, 이렇게 되서 매우 안타깝습니다. 많은 팬...

살아있는 세포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초음파

( A new nanoscale ultrasound technique for imaging live cells could rival the optical super-resolution techniques which won the 2014 Nobel Prize for Chemistry.(Credit: University of Nottingham) )  초음파는 환자의 몸에 상처나 손상을 입히지 않고 실시간으로 내부 장기를 보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심장처럼 계속 움직이는 장기를 들여다보고 수축 이완 능력을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의 흐름 역시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모로 유용합니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초미세 구조까지 초음파로 파악하려는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노팅햄 대학의 연구팀은 살아있는 세포 내부를 볼 수 있는 초음파 영상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연구팀이 개발한  sub-optical phonon (sound) imaging 기술은 201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던 STED 같은 미세 현미경 기술과 견줄만하면서 세포에 아무 손상없이 실시간으로 세포내 소기관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STED나 비슷한 방법은 모두 형광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자체가 세포에 독성이 있을 수 있으며 세포의 반응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초음파는 아무 손상없이 내부를 실시간으로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그러나 빛의 파장보다 더 짧은 초음파를 세포 하나에 집중시키는 일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노팅햄 대학의 연구팀은 이 한계를 극복하고 최초로 세포의 초음파 이미지를 얻는 데 성공했습니다. (사진) 과거 다른 초음파 기반 이미징 기술처럼 앞으로 기술을 개선한다면 세포 생물학 연구나 조직 연구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숨쉬는 것만으로 암 진단이 가능할까?

( Credit: American Chemical Society )  간단히 숨을 들이쉬는 것만으로 진단을 내리는 기기는 이미 보급되어 있습니다. 음주 단속에 사용하는 측정 장치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을 확인하는 요소호기 검사 등이 그것이죠. 여기서 더 나아가서 폐암의 조기 진단 목적으로 사용하려는 연구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앞서 포스트에서 소개한 바 있죠.   이전 포스트:  http://blog.naver.com/jjy0501/220274010267  이 진단 기법은 암세포가 만드는 물질이 폐를 통해 나오는 것을 검출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확진을 위해서 정밀검사가 필요하지만, 일단 의심 환자를 걸러내기만해도 조기 진단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입니다. 아직은 연구 단계지만, 폐암 등 조기 진단이 어려운 암종에 대한 새로운 조기 진단 방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14개 기관이 협력한 국제 과학자팀은 한 가지 기기로 환자의 내쉬는 공기를 분석해서 최대 17개의 질환을 진단하는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이는 내쉬는 공기에 들어있는 13종의 휘발성 유기물질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를 파악해서 폐암은 물론 췌장암, 신장암, 파킨슨 병 등 여러 질환을 진단하는 것입니다.   이미 확진된 환자 1404명을 대상으로 한 테스트에서 이 장치는 86%라는 비교적 양호한 진단률을 보였습니다. 물론 아직 상용화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심각한 질병의 조기 진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13가지 VOCs를 분석해서 진단을 내리기 위해 인공 지능을 적용했다는 사실입니다. 점차 인공 지능이 의료 부분에서도 적용을 늘려나가고 있는데, 이 역시 그런 사례 가운데 하나입니다. 아마도 인공 지능이 발전...

우주 이야기 608 - 별이 탄생하는 은하를 관측한 ALMA와 VLA

(Radio/Optical combination images of distant galaxies as seen with NSF's Very Large Array and NASA's Hubble Space Telescope. Their distances from Earth are indicated in the top set of images. Below, the same images, without labels. Credit: K. Trisupatsilp, NRAO/AUI/NSF, NASA.)  우주 초기에는 은하의 모습이 현재와 달랐습니다. 당시에는 가스는 많은 반면 별은 별로 없었고 여기 저기서 새로운 별이 빠른 속도로 태어났습니다. 이 과정을 거쳐 우리가 아는 현대적인 은하가 생겨난 것이죠. 과학자들은 은하의 진화를 연구하고 우주의 역사를 재구성하기 위해 멀리 떨어진 은하를 관측합니다. 100억 광년 떨어진 은하란 100억 년 전의 은하의 모습이나 다를 바 없으니까요.   미국 국립 과학 재단의 Karl G. Jansky Very Large Array (VLA)와 세계 최대의 전파 망원경인 AMLA는 가스와 먼지가 많은 초기 은하의 모습을 포착해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허블 우주 망원경 역시 초기 은하 관측에 많은 기여를 했지만, 가시광 파장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가스를 뚫고 여기서 나오는 에너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파장이 긴 전파 망원경이 훨씬 유리합니다. 국제 과학자팀은 가스층을 뚫고 은하 안쪽에서 나오는 파장을 분석해 새로운 별이 활발하게 생성되는 은하의 모습을 연구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 은하에서는 1년에 태양 질량 정도의 별이 새로 생긴다면 이런 은하에서는 수백에서 수천배의 속도로 별이 생성됩니다.    당시 생성된 별 가운데 우주에서 가장 흔한 별인 적색왜성은 아직도 우리...

열을 전기로 바꾸는 소재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a nickel-platinum composite material created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At left, the image is overlaid with false-color maps of elements in the material, including platinum (red), nickel (green) and oxygen (blue). Credit: Imaging by Isabel Boona, OSU Center for Electron Microscopy and Analysis; Left image prepared by Renee Ripley. Courtesy of The Ohio State University. )​ ​ ​  현재의 발전소나 내연 기관은 열에너지 -> 운동에너지 -> 전기 에너지 형태로 전기를 생산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열에너지는 운동에너지나 전기에너지로 전환되기 보다는 폐열의 형태로 버려집니다. 그리고 이 열을 처리하기 위해서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합니다. 사실 우리는 열에너지를 매우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한 발전 방식을 연구해왔지만, 현재까지는 난방용 등 다른 용도로 쓰는 것 이외에 비용 효과적인 폐열 사용 방식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열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해서 많은 시도가 이뤄지는 부분이 바로 열전효과를 이용한 것입니다.  ​ ​  독일의 물리학자 제벡(seebeck)은 1821년 서로 다른 두 금속을 붙이고 회로를 만든 다음 양쪽의 온도를 다르게 하면 전기가 흐른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 효과를 제벡 효과라고 부르며 실제 우리 주변 전자기기에 알게 모르게 이를 이용한 장치가 들어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