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우주 이야기 1407 - 거대한 구름으로 덮힌 외계행성 WASP-43b



 (An artist’s impression of the hot Jupiter WASP-43b closely orbiting its parent star. The planet’s tight orbit resulted in its rotation period becoming synchronized with the orbital period, both amounting to 19.5 hours. As a result, WASP-43b always faces the star with the same hemisphere permanently engulfed in daylight with temperatures reaching 1250°C. The nightside facing away from the star is covered by clouds made of condensed mineral droplets at temperatures around 600°C. Credit: T. Müller (MPIA/HdA))



(Using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 the JTEC-ERS team observed the WASP-43 system continuously for 27 hours to observe the entire orbit of the hot, Jupiter-sized exoplanet WASP-43b. As the planet orbits its host star, different faces of the planet are pointed towards the telescope (shown in the top panel). As a result, they measured different temperatures depending on the proportions of the hot dayside and the cold nightside that faced the observer. Using JWST’s MIRI instrument, the team measured the temperature across the planet’s surface by applying the phase curve observing method, with MIRI working like a gigantic contactless infrared thermometer. Because the planet orbits so closely to its host star, its dayside is a scorching 1250°C and winds on the planet transport some of that heat to the relatively cool nightside, which is still a fiery 600°C. Credit: Nature Astronomy (2024). DOI: 10.1038/s41550-024-02230-x)



(This image illustrates how a star illuminates and heats the dayside of a tidally locked planet orbiting in bound rotation. Similar to how we see Venus in the solar system, such a planet shows different fractions of its day and night sides, the phases, during an orbit. In observing WASP-43b, astronomers tracked the planet’s signal as a function of the degree of illumination, thereby obtaining data of the entire planet. Credit: ESA)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인 WASP-43b의 정확한 표면 온도를 측정했습니다. 10년 전 허블 우주 망원경이 상당한 양의 물의 존재를 확인한 이 외계 행성은 별에 너무 가까이 있어 낮인 지역은 영원히 낮이고 밤인 지역은 영원히 밤인 행성입니다.

이는 지구 - 달처럼 가까이 있는 천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석 고정 현상입니다. 하지만 공전 주기가 한달에 가까운 달과 달리 WASP-43b의 공전 주기는 19.5시간에 불과합니다. 행성의 공전 궤도 역시 별의 지름의 두 배에 불과해 거의 인공 위성 같은 느낌입니다.

나사의 에임즈 연구소의 테일러 벨 (Taylor J. Bell)이 이끄는 국제 천문학자팀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이용해 지구에서 280광년 떨어져 있는 WASP-43b를 27시간 동안 관측했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중적외선 카메라인 MIRI를 거대한 비접촉식 온도계처럼 사용해 낮인 부분과 밤인 부분의 온도를 관측한 결과 각각 섭씨 1650도와 섭씨 600도라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빛을 받지 못하는 밤인 부분도 상당히 뜨거운 이유는 대기의 순환 때문입니다. 목성의 폭풍도 산들바람처럼 여겨질 정도인 시속 9000km의 바람이 낮인 지역에서 밤인 지역으로 열을 전달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온도차이가 크기 때문에 밤인 지역에서는 두꺼운 구름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밤인 지역의 적외선 방출이 예측보다 적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가설입니다.

다만 이 구름은 지구처럼 수증기의 구름이나 목성처럼 암모니아의 구름이 아니라 이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응결되는 원소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가운데는 금속 성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높은 분해능으로도 284광년이나 떨어진 행성 구름 성분을 확인하지는 못했습니다. 물론 과학자들은 앞으로 계속해서 구름과 대기의 구성 성분을 알아내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외계 행성의 대기를 조사하기 위한 제임스 웹 망원경의 도전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앞으로 어떤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지 기대됩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4-04-clouds-blanket-night-side-hot.html

Taylor J. Bell et al, Nightside clouds and disequilibrium chemistry on the hot Jupiter WASP-43b, Nature Astronomy (2024). DOI: 10.1038/s41550-024-02230-x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R 스튜디오 설치 및 업데이트

 R을 설치한 후 기본으로 제공되는 R 콘솔창에서 코드를 입력해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그렇게 하기 보다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R 개발환경인 R 스튜디오가 널리 사용됩니다. 오픈 소스 무료 버전의 R 스튜디오는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며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R을 위한 IDE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www.rstudio.com/  다운로드 R 이나 혹은 Powerful IDE for R로 들어가 일반 사용자 버전을 받습니다. 오픈 소스 버전과 상업용 버전, 그리고 데스크탑 버전과 서버 버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오픈 소스 버전에 데스크탑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상업 버전의 경우 데스크탑 버전의 경우 년간 995달러, 서버 버전은 9995달러를 받고 여러 가지 기술 지원 및 자문을 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버전을 설치하는 과정은 매우 쉽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인스톨은 윈도우, 맥, 리눅스 (우분투/페도라)에 따라 설치 파일이 나뉘지만 설치가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이라면 R은 사전에 반드시 따로 설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R 스튜디오만 단독 설치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죠.   설치된 R 스튜디오는 자동으로 업데이틀 체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R 스튜디오에서 Help 로 들어가 업데이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업데이트 할 내용이 없다면 최신 버전이라고 알려줄 것이고 업데이트가 있다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R의 업데이트와 R 스튜디오의 업데이트는 모두 개별적이며 앞서 설명했듯이 R 업데이트는 사실 기존 버전과 병행해서 새로운 버전을 새롭게 설치하는 것입니다. R 스튜디오는 실제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기 때문에 구버전을 지워줄 필요는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신생대에 박쥐가 등장하면서 플로팔랑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