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태양계 이야기 1089 - 주노가 관측한 유로파의 오리너구리



 (Jupiter’s moon Europa was captured by the JunoCam instrument aboard NASA’s Juno spacecraft during the mission’s close flyby on Sept. 29, 2022. The images show the fractures, ridges, and bands that crisscross the moon’s surface. Credit: NASA/JPL-Caltech/SwRI/MSSS; Image processing: Björn Jónsson (CC BY 3.0))



(This black and white image of Europa's surface was taken by the Stellar Reference Unit aboard NASA's Juno spacecraft durring the Sept. 29, 2022 flyby. The chaos feature names "The Platypus" is seen in the lower right corner. Credit: NASA/JPL-Caltech/SwRI)



(This annotated image of Europa's surface from Juno's SRU shows the location of a double ridge running east-west (blue box) with possible plume stains and the chaos feature the team calls "the Platypus" (orange box). These features hint at current surface activity and the presence of subsurface liquid water on the icy Jovian moon. Credit: NASA/JPL-Caltech/SwRI)

나사의 목성 탐사선인 주노는 2022년 9월 29일 목성의 4대 위성 중 2번째인 유로파에 335km까지 접근해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었습니다. 이는 2000년 갈릴레오 탐사선 접근 이후 22년 만에 처음으로 이뤄진 일입니다.

이때 주노의 메인 카메라인 주노캠으로 4장의 사진을 찍고 우주선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별의 사진을 찍는 Stellar Reference Unit (SRU)으로 한 장의 사진을 찍었습니다. SRU는 어두운 환경에서 사진을 찍을 때 유리하기 때문에 낮이 아닌 지역에서도 선명한 지형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노가 보내온 사진을 분석해 보면 22년 전 확인했던 지름 22km 정도 충돌 크레이터인 그원 크레이터 (Crater Gwern)는 흔적만 남고 상당 부분 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유로파 표면이 끊임 없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결과입니다.

하지만 주노가 보내온 가장 흥미로운 이미지는 오리너구리 (Platypus) 입니다. (사진에서 노란색 박스) 대략 37 x 67km 정도 크기의 복잡한 표면 요철을 지닌 지형인데, 과학자들이 주목하는 이유는 수증기가 분출하는 얼음 지각의 지질활동과 연관이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표면의 복잡한 지형과 얼음 융기 및 구릉 지형은 얼음 아래 바다가 존재하고 얼음 지각이 그 위를 떠다닌다는 증거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오리너구리 위 50km에는 열차 선로처럼 보이는 긴 자국 주변으로 검은색의 흔적들이 보이는데, 과학자들은 이 역시 얼음 화산 분출의 증거일지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2022년 탐사 이후 유로파의 다음 번 근접 관측은 올해 발사 예정인 나사의 유로파 클리퍼가 유로파에 도달히는 2030년 이후 이뤄질 것입니다. 갈릴레오 때부터 계산하면 30년 이상의 변화를 상세히 비교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유로파 클리퍼의 성과가 기대됩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4-05-nasa-juno-high-definition-views.html

C. J. Hansen et al, Juno's JunoCam Images of Europa, The Planetary Science Journal (2024). DOI: 10.3847/PSJ/ad24f4

Heidi N. Becker et al, A Complex Region of Europa's Surface With Hints of Recent Activity Revealed by Juno's Stellar Reference Uni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Planets (2023). DOI: 10.1029/2023JE008105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R 스튜디오 설치 및 업데이트

 R을 설치한 후 기본으로 제공되는 R 콘솔창에서 코드를 입력해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그렇게 하기 보다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R 개발환경인 R 스튜디오가 널리 사용됩니다. 오픈 소스 무료 버전의 R 스튜디오는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며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R을 위한 IDE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www.rstudio.com/  다운로드 R 이나 혹은 Powerful IDE for R로 들어가 일반 사용자 버전을 받습니다. 오픈 소스 버전과 상업용 버전, 그리고 데스크탑 버전과 서버 버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오픈 소스 버전에 데스크탑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상업 버전의 경우 데스크탑 버전의 경우 년간 995달러, 서버 버전은 9995달러를 받고 여러 가지 기술 지원 및 자문을 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버전을 설치하는 과정은 매우 쉽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인스톨은 윈도우, 맥, 리눅스 (우분투/페도라)에 따라 설치 파일이 나뉘지만 설치가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이라면 R은 사전에 반드시 따로 설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R 스튜디오만 단독 설치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죠.   설치된 R 스튜디오는 자동으로 업데이틀 체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R 스튜디오에서 Help 로 들어가 업데이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업데이트 할 내용이 없다면 최신 버전이라고 알려줄 것이고 업데이트가 있다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R의 업데이트와 R 스튜디오의 업데이트는 모두 개별적이며 앞서 설명했듯이 R 업데이트는 사실 기존 버전과 병행해서 새로운 버전을 새롭게 설치하는 것입니다. R 스튜디오는 실제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기 때문에 구버전을 지워줄 필요는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신생대에 박쥐가 등장하면서 플로팔랑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