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페이스북)
페이스북이 첫 비행 후 손상된 아퀼라 드론을 다시 하늘로 올렸습니다. 최근 이뤄진 두 번째 테스트 비행은 이륙과 착륙 모두 안전하게 정상적으로 이뤄져 고고도 무인 태양광 비행기의 가능성을 한 걸음 더 현실로 만들었습니다.
아퀼라 드론은 42m 폭의 탄소 섬유 동체에 4개의 프로펠러와 거대한 태양광 패널을 지니고 있습니다. 무게는 전기차 하나 수준에 불과하지만 날개 폭은 보잉 737보다 넓은 고고도 항공기입니다. 최대 고도 27km까지 상승한 후 여기에서 레이저를 이용해서 10GB 대역폭의 통신이 가능합니다.
속도는 매우 느려 16-24km/h 정도인데, 본래 목적이 높은 고도에서 90일 정도 비행하면서 통신 중계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속도가 느린 편이 유리합니다. 속도로 보면 거의 하늘을 나는 거대한 연에 비유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만큼 각각의 프로펠러 역시 출력이 매우 낮아 헤어 드라이기 3개 수준에 불과한 출력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영상)
아퀼라 드론의 착륙 영상을 보면 왜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극도로 길고 얇은 날개 때문에 사실 안전하게 착륙하는 일이 가장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본래 프로펠러도 땅에 닿지 않도록 착륙전 접히게 되어 있는데, 이번에도 일부 완전히 접히지 않는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앞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아무튼 인터넷이 통하지 않는 오지까지 인터넷을 연결하려는 페이스북의 야망이 한 단계 더 현실에 가까워진 것 같습니다.
참고
|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