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노인에서 생선 섭취가 장수에 도움이 된다 ?




 2013 년 4월 2일자 (온라인) Annals of Internal Medicine 에 기재된 논문에 의하면 혈중 오메가 - 3 지방산의 농도가 높을 수록 노인에서 심혈관 사망률을 포함해서 전체적인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 같다고 합니다. 하버드 대학 예방의학 교실 (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HSPH)) 및 워싱턴 대학 (University of Washington) 의 연구자들은 65 세 이상 노인 인구 2700 명의 16 년간 추적 관찰을 통해 이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합니다.  


연구의 주저자인 Dariush Mozaffari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pidemiology at HSPH) 에 의하면 과거 생선 섭취가 뇌혈관 및 심혈관 질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는 많았지만 그 배경으로 지목되는 Long-chain ω-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ω3-PUFAs, 이것들은 오메가 3 지방산에 속하는데 오메가 3 지방산이란 이중 탄소 결합이 맨끝 탄소 (오메가) 에서 3 번째 탄소에 존재한다는 의미. 모두 불포화 지방산 ) 의 혈중 농도와 종류의 차이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확실치 않은 상태로 남아있었습니다. 


 무려 16 년간에 걸친 장기간 코호트 연구를 진행한 연구팀은 65 세 이상 2700 명을 연인원 (person year) 으로 30829 연인원 동안 추적 관찰하여 1625 명의 사망을 확인했습니다. 이 중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은 570 명이었으며 359 건의 치명적인 심혈관 이벤트와 371 건의 비 치명적인 심혈관 이벤트, 그리고 130 건의 치명적인 뇌혈관 질환과 276 건의 치명적이지 않은 뇌혈관 질환의 발생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들 참여자들의 혈액에서  ω3-PUFAs 농도를 종류별로 추적 관찰 한 후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및 전체 사망률과 비교한 결과 혈중 ω3-PUFAs 농도가 높을 수록 사망률이 낮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extreme-quintile hazard ratios of 0.83 for EPA (95% CI, 0.71 to 0.98; P for trend = 0.005), 0.77 for DPA (CI, 0.66 to 0.90; P for trend = 0.008), 0.80 for DHA (CI, 0.67 to 0.94; P for trend = 0.006), and 0.73 for total ω3-PUFAs (CI, 0.61 to 0.86; P for trend < 0.001) )  


 가장 혈중 ω3-PUFAs 농도가 높았던 그룹의 경우 65 세 이후 2.22 년 정도 다른 그룹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오래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전했으며 이는 심혈관 질환 및 그외의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 모두 낮게 나타난 덕분이라고 합니다.


 한편 ω3-PUFAs 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도의 차이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DHA (docosahexaenoic acid ) 경우 관상 동맥 질환 (Coronary heart disease) 으로 인한 사망도를 낮추는데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PA (docosapentaenoic acid) 의 경우에는 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에 연관이 깊었고 EPA (eicosapentaenoic acid) 는 치명적이지 않은 심혈관 질환 감소와 연관이 가장 높았습니다. 




(오메가 3 지방산 가운데 하나인 DHA, 22:6 (n−3), ω3 탄소에 첫번째 이중 결합이 나타난다.    http://en.wikipedia.org/wiki/File:DHAnumbering.png )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토대로 65 세 이상 노인의 경우 일주일에 2 회 정도 생선을 섭취 하는 것이 건강에 유리할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여기까지인데 아무튼 꽤 많은 돈과 시간이 들었을 것 같은 연구인 것 같습니다. 오랜 시간 인구 집단을 기반으로 Cardiovascular Health Study (CHS) 라는 연구를 진행한 결과인데 이 연구는 국립 심장, 폐, 혈액 연구소의 지원을 받은 것이라고 합니다.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한 연구 결과라고 봐야겠죠. 이런 걸 보면 부럽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한가지 추가해서 말하면 식단에 생선을 추가하는 것이 심혈관 질환 예방 등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여러 연구를 통해 지지를 받고 있었습니다. AHA (미 심장 협회) 의 이전 가이드라인 역시 이 점을 명시하고 있어서 기름기가 많은 생선 (Oily fish) 을 일주일에 2 회 정도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생선의 경우 메틸 수은 등의 위험성 때문에 어린이와 임산부에서는 과도한 섭취를 제한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름기 많은 생선이 심혈관 질환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ω3-PUFAs 섭취 때문이기도 하고 생선을 섭취하므로 인해서 포화 지방산 및 트랜스 지방산이 많은 다른 음식을 덜 섭취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비록 과량 섭취시 부작용이 없는 건 아니지만 적당량 섭취시 득이 더 많다는 것이죠. 이번 연구는  ω3-PUFAs 농도가 높을 수록 사망률의 감소를 보이는 점을 증명해 적어도 앞의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받아들여 질 수 있습니다. 


 한편 생선 섭취 권장과는 달리 건강 보조 식품으로 흔히 팔리는 오메가 3 지방산 보조제 (omega-3 PUFA supplementation) 의 경우 일반 인구 집단에서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가 과학적으로 충분히 입증되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작년에 JAMA 에 실린 메타 분석에서도 오메가 3 지방산 보조제가 통계학적으로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 심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 심근 경색, 뇌졸증 감소와 연관이 없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현재까지 증거를 종합하면 일반 성인의 경우 AHA 가이드라인 대로 기름기 많은 생선을 정기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다만 임산부 및 소아, 수유를 하는 어머니의 경우에는 메틸 수은 등의 위험성으로 인해 주당 6 온스 (170g) 이상 대형 참치류에 속하는 어종을 섭취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 EPA 및 FDA 권고안입니다. ( http://blog.naver.com/jjy0501/100159561718  참조)           





Journal Reference:

Dariush Mozaffarian, Rozenn N. Lemaitre, Irena B. King, Xiaoling Song, Hongyan Huang, Molin Wang, Frank M. Sacks, Eric B. Rimm, and David S. Siscovick. Plasma Phospholipid Long-Chain ω-3 Fatty Acids and Total and Cause-Specific Mortality in Older Adults: A Cohort StudyAnn Intern Med., 2 April 2013;158(7):515-525


참고 

Evangelos C. Rizos, MD, PhD; Evangelia E. Ntzani, MD, PhD; Eftychia Bika, MD; Michael S. Kostapanos, MD; Moses S. Elisaf, MD, PhD, FASA, FRSH (September 2012). "Associ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and Risk of Major Cardiovascular Disease Ev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308 (10): 1024–1033. doi:10.1001/2012.jama.11374. PMID 22968891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신생대에 박쥐가 등장하면서 플로팔랑곱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enage-girl-years-reconstructed.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