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우주 이야기 250 - 우주의 미스테리 고리




 우주에는 별들이 탄생하는 산실 같은 장소가 존재합니다. 뜨거운 가스의 농도가 높은 성운에서는 자체 중력으로 뭉친 가스들이 아기별로 변해 빛나기 시작하는데 모포에 쌓인 아기들 처럼 가스의 베일에 쌓여서 별로의 탄생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유럽 우주국 (ESA) 의 허셜 우주 망원경 (Herschel Space Observatory) 이런 별들의 고향 가운데 하나인 NGC 7538 을 매우 세밀하게 관측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미스테리 서클 같은 고리가 발견되었습니다.  



(NGC 7538 의 이미지  The Herschel Space Observatory has uncovered a weird ring of dusty material while obtaining one of the sharpest scans to date of a huge cloud of gas and dust, called NGC 7538. The gigantic ring structure is situated at the center-top of this image. The odd ovoid possesses the mass of 500 suns, with its long axis spanning about 35 light-years and its short axis about 25 light-years.  

The blue and green colors in this image represent 70- and 160-micron data, respectively, from Herschel's Photoconductor Array Camera and Spectrometer (PACS) instrument. The red colors are 250-micron observations obtained from Herschel's Spectral and Photometric Imaging Receiver (SPIRE) instrument. 
Image credit: ESA/NASA/JPL-Caltech/Whitman College)  


 NGC 7538 은 우리 은하안에 있는 거대 가스 성운으로 지구에서 케페우스 자리 (Cepheus) 방면으로 약 8800 - 9100 광년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이 거대한 가스 구름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40 만배에 달할 만큼 크며 따라서 막대한 수의 별이 동시에 탄생하고 있습니다. 허셜 우주 망원경은 이 장면을 상세한 디테일로 담아서 여기서 적어도 13 개 정도의 무거운 별이 탄생하는 장면을 목격했습니다. 이들의 질량은 적어도 태양의 40 배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에 보이는 NGC 7538 의 중앙부의 고리 모양 구조물은 긴쪽이 35 광년, 짧은 쪽이 25 광년 정도인 타원구조물로 여기에는 막대한 양의 차가운 가스와 먼지가 모여 있습니다. 연구의 주 저자인 카산드라 팔셔 (Cassandra Fallscheer, a visiting assistant professor of astronomy at Whitman College in Walla Walla, Washington) 와 그녀의 동료들은 이 성운을 연구하던 중에 이 고리 모양 구조물을 발견했는데 자체의 질량만 태양 질량의 500 배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어떤 메카니즘으로 이런 고리가 형성되었을까요 ?  


 보통 가스가 밀집해 있는 이런 거대 성운에서 거품 같은 빈 공간이 생기는 이유는 거대한 질량의 별이 탄생하는 경우라고 합니다. 그 강력한 항성풍은 가스와 먼지를 수십 광년 밖으로 밀어낼 수도 있습니다. 이런 별은 극도로 수명이 짧기 때문에 어떤 것은 생긴지 수백만년만에 최후를 맞이하면서 가스 구름 내에 거대한 공동을 만들고 그 한가운데는 중성자별 등으로 흔적을 남기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연구팀은 여기에서 중성자별을 포함해 어떤 흔적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 미스테리 링의 존재에 대해서 좀더 연구하기 위해 연구팀은 허셜의 관측 결과와 더불어 제임스 클락 맥스웰 망원경 (James Clerk Maxwell Telescope, located at the Mauna Kea Observatory in Hawaii)  같은 지상의 다른 망원경의 추가 관측 결과를 추가했습니다.  


 그 결과 연구팀이 내린 대안적인 가설은 바로 여기에 강력한 항성풍을 내뿜는 밝은 별 - OB 형- 이 탄생한 후 빠르게 이동해서 지금은 흔적만 남아 있는 상태라는 것입니다. 물론 연구팀은 보다 연구가 진행되어 이와 같은 불가사의한 구조물의 생성 원인에 대한 메카니즘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조심스럽게 접근했습니다. 아무래도 직접 증거가 될 별이나 별의 흔적 (초신성 폭발을 했다면 잔해가 남을 테니) 안보이니 말이죠.


 지구에서 누가 그렸는지 알 수 없는 거대 동심원이 발견되면 외계인의 소행 혹은 누군가의 장난이라고 말하겠는데 이 우주의 미스테리 서클은 규모상 범인이 반드시 천문학적인 크기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가장 타당한 추론은 역시 강력한 항성풍을 내뿜는 O 형이나 B 형 별인데 흔적도 보이지를 않으니 고리만 남기고 어딘가 도망갔다는 가설만 세울 수 밖에 없는 상태입니다.   


 사실 이 연구는 허셜 OB 형 젊은 별 연구 (Herschel OB Young Stellar objects (HOBYS)) 의 일환으로 진행된 것입니다. 천문학자들은 별 가운데서 가장 무겁고 밝고 뜨거운 대신 수명이 매우 짧은 분광형 O 형 및 B 형 별들이 이렇게 대형 성운에서 무리로 태어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런 별들은 숫자는 많지 않지만 지구같은 행성과 인간 같은 생명체에게 반드시 필요한 물질들을 합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에게 항상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습니다. 향후 이 성운에 대한 연구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Journal Reference:
  1. C. Fallscheer, M. A. Reid, J. Di Francesco, P. G. Martin, T. Hill, M. Hennemann, Q. Nguyen-Luong, F. Motte, A. Men'shchikov, Ph. André, D. Ward-Thompson, M. Griffin, J. Kirk, V. Konyves, K. L. J. Rygl, S. Sadavoy, M. Sauvage, N. Schneider, L. D. Anderson, M. Benedettini, J.-P. Bernard, S. Bontemps, A. Ginsburg, S. Molinari, D. Polychroni, A. Rivera-Ingraham, H. Roussel, L. Testi, G. White, J. P. Williams, C. D. Wilson, M. Wong, A. Zavagno. Herschel Reveals Massive Cold Clumps in NGC 7538The Astrophysical Journal, 2013; 773 (2): 102 DOI:10.1088/0004-637X/773/2/102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