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태양계 이야기 185 - 명왕성의 상세한 모습은 ?



 이전에 소개드린 것과 같이 현재 명왕성을 향해서 나사의 탐사선 뉴 호라이즌이 다가가고 있습니다. 2015 년 뉴호라이즌 호는 명왕성에서 1 만 km 이내 그 위성인 카론에서는 27000 km 이내의 근접거리를 13.78 km/s 의 속도로 통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 때가 되면 명왕성과 그 여러 위성 (지금까지 적어도 5 개가 발견됨) 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밝혀지겠지만 그 전까지 허블 우주 망원경들의 관측을 통해서 여러가지 재미있는 사실을 알려지고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관측 내용을 보면 명왕성은 결코 심심한 태양계의 변두리 왜행성이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현재까지의 관측 내용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전에 참조할 이전 포스트 

 명왕성과 카론 (오래된 포스트입니다) : http://jjy0501.blogspot.kr/2012/04/19.html
 명왕성 탐사선 뉴 호라이즌 :  http://jjy0501.blogspot.kr/2012/06/42.html
 명왕성의 새 위성의 이름 : http://jjy0501.blogspot.kr/2013/07/155.html


 일단 허블 우주 망원경과 그외 망원경들의 관측 결과로 부터 우리는 명왕성이 매우 알록달록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신기한 지형이 있는지는 물론 뉴 호라이즌의 관측 결과를 기다려봐야 겠지만 구체적인 생김새가 어떤지 정말 궁금하게 만드는 관측 결과입니다. 



(허블 우주 망원경 (HST) 관측 결과를 토대로 재구성한 표면 지형도. 클릭하면 원본.  These are two Hubble photo maps of the dwarf planet Pluto, as seen in 1994 and 2002-2003. Hubble's view isn't sharp enough to see craters or mountains, if they exist on the surface, but Hubble does reveal a complex-looking and variegated world with white and charcoal-black terrain. The white areas are surface frost, and the dark areas are a carbon-rich residue caused by sunlight breaking up methane that is present on Pluto's surface.  Credit :  NASA/ESA/M. Buie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



(이를 다시 처리한 영상으로  붉은색은 메탄 아이스 (methane ice) 이고 어두운 부분은 더러워진 얼음 (dirty water - ice) 가 있는 부분임.  This newest image of Pluto - our most distant planetary neighbor - shows more detail than any taken before. It might not look like much, but keep in mind that Pluto is only 1,400 miles (2,253 km) across - about two-thirds the size of our Moon - and more than 3.5 billion miles (5.6 billion km) away. It took the Hubble Space Telescope a dozen orbits around the Earth for the Hubble Space Telescope to take the picture, and nearly two years of computer processing to stitch all the information together. The image shows most of the spherical surface of Pluto spread out into a flat map. The red areas indicate methane ice, which seems to be everywhere. The dark areas may be dirty water-ice. Lighter areas indicate nitrogen frost. The bright spot near the center of the map could be a sign of carbon monoxide  Credit  :  Marc Buie (Lowell Observatory)/NASA/ESA ) 



(세 각도에서 본 명왕성의 모습  A best-fit color image/map of Pluto generated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and advanced computers. It is unknown if the brightness differences are mountains, craters, or polar caps.  Credit : NASA, ESA, and Marc W. Buie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



(역시 HST 의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재구성한 명왕성   Image credit: PHL @ UPR Arecibo, NASA HST )  


 현재까지 얻을 수 있는 허블 우주 망원경 이미지를 통해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아무튼 명왕성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지형이 있는 게 분명합니다. 일부 표면은 메탄 아이스에 덮혀 있는데 약간 붉은 빛을 띄기도 하지만 화성처럼 붉은 행성은 아닐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보다는 노란 오렌지 색에 더 가까울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외의 지역은 물이 얼은 얼음과 암석들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기에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극관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현재는 옅은 대기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겉모습은 역시 뉴호라이즌 호가 밝혀내야할 과제입니다. 


 참고로 명왕성의 반지름은 1153 km 정도에 불과해 지구의 1/5 도 안되며 (약 18%) 달과 비교해도 2/3 정도 크기에 불과합니다. 이 작은 얼음 - 암석 왜행성이 왜 이렇게 복잡한 지형과 많은 위성들을 거느리고 있는지는 지금도 미스테리인데 뉴 호라이즌이 근접해서 관측을 하면 실제 모습과 더불어 신기한 사실이 대거 밝혀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명왕성과 그 위성들. This image, taken by NASA's Hubble Space Telescope, shows five moons orbiting the distant, icy dwarf planet Pluto. The newly discovered small moon, Styx (initially designated P5), is the innermost of the moons found by Hubble over the past seven years. The diagram shows that Styx is in a 58,000-mile-diameter circular orbit around Pluto that is assumed to be co-planar with the other satellites in the system. Though Charon (discovered in 1978) is an even closer moon to Pluto, some astronomers consider the Pluto-Charon pair a "double planet" because Charon's mass is 12 percent of Pluto's mass (by comparison, our Moon is .01 percent Earth's mass). This image was taken with Hubble's Wide Field Camera 3 on July 7. Other observations that collectively show the moon's orbital motion were taken on June 26, 27, and 29, 2012 and July 9, 2012. The new data will help scientists in their planning for the July 2015 flyby of Pluto by NASA's New Horizons spacecraft.   Credit : NASA, ESA, and L. Frattare (STScI) ) 



 물론 이미 5 개나 밝혀진 명왕성의 위성 역시 큰 관심사 가운데 하나죠. 카론이외에 작은 위성들은 그 모양이 독특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과연 감자 처럼 생겼는지 아니면 뭔가 독특한 사연들을 가지고 있는지, 고리의 존재는 없는지 여러가지 흥미로운 사실들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