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긴꼬리투구새우 (Triops longicaudatus) 의 사진 Photograph taken by Dominik Tomaszewski fromhttp://mytriops.com/ )
그 생김새가 마치 투구게를 축소해 놓은 것 처럼 생겨서 미니어처 투구게라고 불리는 긴꼬리투구새우 (학명 Triops longicaudatus, 영어로는 longtail tadpole shrimp, American tadpole shrimp, rice tadpole shrimp ) 는 사실 투구게와는 직접적인 유연관계는 없습니다. 긴꼬리투구새우는 배갑목 (Notostraca) 투구새우과 (Triopsidae) 에 속하는 길이 5 cm 내외의 작은 민물 갑각류이고 투구게 (Tachypleus tridentatus ) 는 검미목 (Xiphosurida) 투구게과 (Limulidae ) 에 속하는 몸길이 60 cm 정도의 바다 갑각류입니다.
(긴꼬리 투구새우는 매우 작은 민물 갑각류로 대개 5 cm, 커도 7.5 cm 를 넘지 않음 Credit : Micha L. Rieser; Edit by Waugsberg (color adjustment, a little sharpening) )
(몸구조는 머리, 가슴, 배로 되어 있음 This work has been released into the public domain by its author, Crustaceanguy at the English Wikipedia project. This applies worldwide. )
(참고로 보는 투구게의 모습. 잘못 알면 긴꼬리 투구새우가 자라면 투구게가 되는 걸로 오해할 만큼 비슷하게 생겼음 http://en.wikipedia.org/wiki/File:Limulus_polyphemus.jpg )
생김새 외에도 긴꼬리 투구새우는 우연의 일치치곤 기묘한 공통점이 존재하는데 바로 둘 다 살아있는 화석이라는 점입니다. 투구게는 거미나 전갈 같은 생물들과 더 유연 관계가 있는데 무려 4 억 5000 만년전 후기 오르도비스기 (Ordovician, 고생대의 두번째 기) 에 이미 그 화석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긴꼬리 투구 새우의 경우 이보다는 덜 오래된 과로 그 조상에 해당되는 생물이 석탄기쯤 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한개의 종 Triops longicaudatus 만 두고 말하면 7000 만년전 발견된 종과 현재의 종이 거의 모양에서 차이가 없는 동일한 종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긴꼬리 투구새우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생물종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투구게와 더불어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점도 동일합니다.
이렇게 긴꼬리 투구새우가 오랜 세월 멸종되지 않고 살아남은 이유는 무엇이든 먹는 잡식성과 아주 다양한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독특한 생식 전략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긴꼬리 투구새우는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 모두다 가능합니다. 수명은 30 -90 일 정도로 매우 짧은 편이지만 대신 대부분 무성 생식을 통해서 빠른 속도로 증식이 가능합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개체군들이 암컷 혹은 수컷으로 성별이 꽤 편향된 것도 특징입니다.
성체는 환경 변화에 약해도 알의 경우 두꺼운 껍질을 가지고 있어 수년 동안 냉동이나 건조등 주변 환경 변화에 아무런 문제 없이 잘 지내다가 적당한 환경이 조성되면 다시 부화할 수 있습니다. 일단 한 개체만 부화하면 그 다음에는 스스로 번식이 가능해서 곧 군체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점 때문에 수많은 대멸종을 견디고 살아남은 것으로 보입니다. 서식 범위 역시 광범위해서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 아시아 대륙, 아메리카 대륙 등에 널리 분포합니다.
먹이는 그야말로 뭐든지 다 먹는데 조류, 유기물, 원생동물, 모기 유충, 기타 곤충, 그리고 자신의 동족도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특히 물이 고인 웅덩이나 논에서 잘 서식하며 다리를 이용해 흙을 휘젓고 다니면서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해충의 유충을 잡아먹는 특징 때문에 친환경 농법에서 사용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즉 인간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갑각류이지만 사실 인간은 이 갑각류에 유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인간이 사용하는 농약에 쉽게 죽기 때문이죠.
한국에서는 2005 년에 농약 사용으로 개체수가 줄어들어 멸종위기 2 급 판정을 받았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친환경 농법에 사용되면서 서식지가 보호되고 있습니다. 경남 산청군 산청읍에 있는 유기 재배 시범단지에는 이미 9 년째 계속 긴꼬리 투구새우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생존력이 강한 만큼 쉽게 멸종되지 않을 갑각류라고 하겠습니다. 또 번식이나 키우기가 쉬워서 애완용으로 사육하시는 분들도 꽤 됩니다.
아마 트리옵스라고 검색창에 입력하거나 긴꼬리 투구새우로 입력하면 키트에 넣어서 파는 경우도 흔히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알의 상태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치 완구류처럼 판매도 가능하죠. 식용으로 사용되진 않지만 수온만 잘 맞춰주면 작은 투구게 같은 녀석들이 헤엄치거나 모래를 휘젓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저도 살짝 관심이 가지만 사육은 잘못해서 곧 폐사할까 걱정되긴 하네요.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