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LG G2 공개



(Source : LG )

 LG 전자가 Optimus G 의 후속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G2 를 공개했습니다. 옵티머스라는 이름은 이제는 빠지고 G 시리즈로 등장한 G2 는 일단 2013 년 후반기 안드로이드 플래그쉽 스마트폰이 갖춰야할 미덕은 다 갖추고 등장한 것 같습니다. 5 인급 full HD 화면에 퀄컴 스냅드래곤 800, 1300 만 화소 카메라 등 요즘 나오는 플래그쉽 스마트폰의 '기본' 을 하고 있다는 의미겠죠.

(주의 : 출시 당일 나온 내용을 토대로 했으므로 일부 정확하지 않는 내용도 있을 수 있음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LG G2 스펙 (해외판 기준)  


  • Processor: 2.26GHz Qualcomm® Snapdragon™ 800 featuring quad Krait CPU
  • Display: 5.2-inch Full HD IPS (1080 x 1920 pixels / 423 ppi)
  • Memory: 32GB / 16GB
  • RAM: 2GB LPDDR3 800MHz
  • Camera: Rear 13.0MP with OIS / Front 2.1MP
  • Battery: 3,000mAh
  • Operating System: Android Jelly Bean 4.2.2
  • Size: 138.5 x 70.9 x 8.9mm
  • Colors: Black / White


 전반적으로 봤을 때 LG G2 의 직접적인 경쟁자는 삼성의 갤럭시 S4 나 HTC One 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AP 는 퀄컴의 스냅 드래곤 Qualcomm MSM8974 Snapdragon 800 (Quad-core 2.26 GHz Krait 400 + Adreno 330)  을 사용하므로 현 세대에서 성능은 문제 삼기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CA, Carrier Aggregation ) 을 지원 LTE - A 도 가능합니다.   



(주요 경쟁자들과의 스펙 비교. 모토 X 가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것을 쉽게 눈치챌 수 있음 )


 그런데 사실 G2 는 국가별로 버전이 달리해서 나올 모양이며 국내판 버전은 미국에 출시되는 것과 약간 사양이 다릅니다. 가장 큰 차이는 32 GB 모델 + 64 GB 까지 확장 가능한 microSD 슬롯이 추가 되는 점인데 대신 배터리 용량은 2610 mAh 로 줄어듭니다. 하지만 배터리가 착탈식이므로 더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CPU 클럭을 약간 높인 정도로는 사용자가 현재 상태에서 쉽게 성능 차이를 체감할 수 없지만 microSD 슬롯의 부재나 내장형 배터리는 상당히 체감할 수 있는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국내 버전의 이와 같은 변화는 더 바람직해 보입니다.

 LG 전자는 G2 를 통해 스마트폰 시장에서 권토 중래를 노린다는 계획이지만 여기에는 쉽지 않은 장애요인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일단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하면서 향후 업체들의 수익성 향상을 방해하는 몇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부품들이 서로 공유되고 성능이 상향 평준화 되어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요즘 나오는 플래그쉽 스마트폰들은 대부분 (아이폰 제외) fullHD 화면에 천만 화소급 카메라, 퀄컴의 쿼드 코어 AP, LTE 등을 지원하고 최신 안드로이드 OS 를 탑재해 사실상 차별화가 쉽지 않아졌습니다. 이는 모든 업체들의 고민으로써 여러가지 특이한 기능을 넣거나 하는 경우가 늘고 있지만 대부분은 사용자가 잘 쓰지 않는 기능인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두번째는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되면서 나타나는 문제로 사용자들이 이미 스마트폰을 다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현재 있는 스마트폰으로도 사용하는데 큰 불편을 느끼지 않는 사용자들이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새 스마트폰을 장만하게 하기는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G2 역시 차별화를 위한 고민들이 담겨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터치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Zerogap Touch (커버유리 완전 일체형 터치) 기술은 그래픽이 손끝에 닿는 듯한 터치감을 제공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full HD 화면으로 인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정지 화면에서는 CPU 를 쉬게 하고 GRAM 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시간을 늘렸다고 합니다. 1300 만 화소의 후면 카메라에는 광학식 손떨림 보정 (OIS)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후면에 위치한 버튼은 아마도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부분보다 더 궁금한 점은 Hi - Fi 사운드 제공 기능으로 24 bit, 192 kHz 의 음질을 제공해 스튜디오 수준 음원 재생이 가능하다는 주장입니다. 오늘날 MP3 플레이어의 몰락을 가져온 것이 스마트폰이란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기 힘들 것입니다. 이제는 스마트폰이 음악을 듣는 휴대용 기기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기 때문에 음질을 강조하는 것은 그다지 드문 일도 아닙니다. 최근에 등장한 갤럭시 S4 는 음원 재생에서 기대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기도 했었죠. 과연 G2 는 어떨지 매우 궁금한 부분 가운데 하나로 이 부분은 상세한 벤치 결과가 나왔으면 합니다.  


 이외에 G2 는  

- Answer Me - Automatically answers the call after lowering the ringtone when the phone is raised to one's ear.

- Plug & Pop - Recommends options or related features to choose from when the earphone or USB cable is detected.

- Text Link -Allows information embedded in text messages to be selected and easily saved in a memo or calendar and searched on a map or the internet.

- QuickRemote - Not only can LG G2 be used to remotely control popular home entertainment devices, it can also learn from conventional remotes and be customized to operate multiple devices with flexible layouts and keys.

- Slide Aside - Enables easier multitasking by simply "sliding" open apps off to the side using a three-finger swipe.

- Guest Mode - Protects owner's privacy by displaying only pre-selected apps when guests access the phone with a secondary unlock pattern.


 라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고 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실 사용기를 봐야 할 것 같습니다.  




(LG G2  해즈온 )  


 아무튼 주사위는 던저졌고 이제 소비자의 평가라는 시험대에 올라간 G2 가 현재의 험난해 보이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살아남게 될지는 두고 보면 알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