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R을 이용해 간단한 신경망 만들기 (16)





 점점 인공지능 관련 포스팅이 복잡해지고 있어서 간단한 신경망 만들기는 아마도 이번까지 하고 다음부터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진행하면서 R을 이용한 딥러닝으로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무튼 H2O 패키지는 상업용 인공지능 툴 답게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중 흥미로운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AutoML 기능입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인공 신경망에는 여러 가지 옵션이 존재하며 이 옵션을 어떻게 조정하는지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시행 착오를 거쳐야만 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게 됩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모델을 테스트하고 이를 비교해서 최적 모델을 찾는 과정도 자동화할 수 있는 기법이 개발되었습니다. H2O의 AutoML 이 바로 그런 기능으로 딥러닝은 물론 랜덤 포레스트나 GBMs (Gradient Boosting Machines), Stacked Ensemble 같은 인공 지능 기법을 이용한 모델을 제시합니다. H2O.ai 에서 제시한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autoML

library(h2o)

localH2O = h2o.init()

# Import a sample binary outcome train/test set into H2O
train <- a="" class="con_link" h2o.importfile="" href="https://s3.amazonaws.com/erin-data/higgs/higgs_train_10k.csv" style="overflow-wrap: break-word; text-decoration-line: none;" target="_blank">https://s3.amazonaws.com/erin-data/higgs/higgs_train_10k.csv
")
test <- a="" class="con_link" h2o.importfile="" href="https://s3.amazonaws.com/erin-data/higgs/higgs_test_5k.csv" style="overflow-wrap: break-word; text-decoration-line: none;" target="_blank">https://s3.amazonaws.com/erin-data/higgs/higgs_test_5k.csv
")

# Identify predictors and response
y <- response="" span="">
x <- names="" setdiff="" span="" train="" y="">

# For binary classification, response should be a factor
train[,y] <- as.factor="" span="" train="" y="">
test[,y] <- as.factor="" span="" test="" y="">

# Run AutoML for 20 base models (limited to 1 hour max runtime by default)
aml <- h2o.automl="" x="x," y="y,</span">
                  training_frame = train,
                  max_models = 20,
                  seed = 1)

# View the AutoML Leaderboard
lb <- aml="" leaderboard="" span="">
print(lb, n = nrow(lb))  # Print all rows instead of default (6 rows)

# The leader model is stored here
aml@leader

# If you need to generate predictions on a test set, you can make
# predictions directly on the `"H2OAutoML"` object, or on the leader
# model object directly

pred <- also="" aml="" h2o.predict="" nbsp="" predict="" span="" test="" works="">

pred


 이 예제는 테스트에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논리 CPU 8개를 할당해도 20분 이상 걸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print(lb, n = nrow(lb))  # Print all rows instead of default (6 rows)
                                              model_id       auc   logloss mean_per_class_error      rmse       mse
1     StackedEnsemble_AllModels_AutoML_20190324_225820 0.7890978 0.5524149            0.3196844 0.4326267 0.1871658
2  StackedEnsemble_BestOfFamily_AutoML_20190324_225820 0.7854526 0.5561179            0.3255787 0.4343390 0.1886503
3                         GBM_5_AutoML_20190324_225820 0.7808367 0.5599029            0.3408479 0.4361915 0.1902630
4                         GBM_2_AutoML_20190324_225820 0.7800364 0.5598060            0.3399258 0.4364149 0.1904580
5                         GBM_1_AutoML_20190324_225820 0.7798268 0.5608570            0.3350957 0.4366159 0.1906335
6                         GBM_3_AutoML_20190324_225820 0.7786685 0.5617903            0.3255378 0.4371886 0.1911339
7            GBM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4 0.7777929 0.6275684            0.3187812 0.4667522 0.2178576
8            GBM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1 0.7772185 0.6008910            0.3227162 0.4535716 0.2057272
9                         GBM_4_AutoML_20190324_225820 0.7714230 0.5697120            0.3374203 0.4410703 0.1945430
10           GBM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2 0.7698263 0.6070157            0.3072613 0.4566813 0.2085578
11                        DRF_1_AutoML_20190324_225820 0.7428924 0.5958832            0.3554027 0.4527742 0.2050045
12                        XRT_1_AutoML_20190324_225820 0.7420910 0.5993457            0.3565826 0.4531168 0.2053148
13  DeepLearning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5 0.7351121 0.6072728            0.3589475 0.4570660 0.2089094
14           GBM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3 0.7279124 0.6889933            0.3598375 0.4763117 0.2268729
15           GBM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5 0.7167078 0.6865927            0.3871737 0.4967212 0.2467320
16               DeepLearning_1_AutoML_20190324_225820 0.7041353 0.6277710            0.3983563 0.4669145 0.2180092
17  DeepLearning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1 0.6959598 0.7166216            0.3989566 0.4849767 0.2352024
18  DeepLearning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4 0.6945008 0.7056079            0.4041671 0.4878114 0.2379600
19           GLM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1 0.6826524 0.6385205            0.3972341 0.4726827 0.2234290
20  DeepLearning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3 0.6807204 0.6708166            0.4045776 0.4810438 0.2314031
21  DeepLearning_grid_1_AutoML_20190324_225820_model_2 0.6801893 0.7273539            0.4073531 0.4926833 0.2427368


 이 결과를 보면 1번에 StackedEnsemble_AllModels_AutoML_20190324_225820 모델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아래에서 이 모델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가 나옵니다. 


> # The leader model is stored here
> aml@leader
Model Details:
==============

H2OBinomialModel: stackedensemble
Model ID:  StackedEnsemble_AllModels_AutoML_20190324_225820 
NULL


H2OBinomialMetrics: stackedensemble
** Reported on training data. **

MSE:  0.1049423
RMSE:  0.323948
LogLoss:  0.3599495
Mean Per-Class Error:  0.1240032
AUC:  0.9527414
pr_auc:  0.9548414
Gini:  0.9054828

Confusion Matrix (vertical: actual; across: predicted) for F1-optimal threshold:
          0    1    Error         Rate
0      3906  799 0.169819    =799/4705
1       414 4881 0.078187    =414/5295
Totals 4320 5680 0.121300  =1213/10000

Maximum Metrics: Maximum metrics at their respective thresholds
                        metric threshold    value idx
1                       max f1  0.488791 0.889476 208
2                       max f2  0.369647 0.931987 253
3                 max f0point5  0.616275 0.897052 160
4                 max accuracy  0.517914 0.879400 197
5                max precision  0.948386 1.000000   0
6                   max recall  0.171604 1.000000 346
7              max specificity  0.948386 1.000000   0
8             max absolute_mcc  0.514976 0.757984 198
9   max min_per_class_accuracy  0.551951 0.877620 185
10 max mean_per_class_accuracy  0.536136 0.878565 190

Gains/Lift Table: Extract with `h2o.gainsLift(, )` or `h2o.gainsLift(, valid=, xval=)`

H2OBinomialMetrics: stackedensemble
** Reported on cross-validation data. **
** 5-fold cross-validation on training data (Metrics computed for combined holdout predictions) **

MSE:  0.1871658
RMSE:  0.4326267
LogLoss:  0.5524149
Mean Per-Class Error:  0.3196844
AUC:  0.7890978
pr_auc:  0.8047692
Gini:  0.5781957

Confusion Matrix (vertical: actual; across: predicted) for F1-optimal threshold:
          0    1    Error         Rate
0      2301 2404 0.510946   =2404/4705
1       680 4615 0.128423    =680/5295
Totals 2981 7019 0.308400  =3084/10000

Maximum Metrics: Maximum metrics at their respective thresholds
                        metric threshold    value idx
1                       max f1  0.350203 0.749553 274
2                       max f2  0.179339 0.860131 348
3                 max f0point5  0.614417 0.738955 156
4                 max accuracy  0.518482 0.713400 198
5                max precision  0.948036 1.000000   0
6                   max recall  0.067843 1.000000 393
7              max specificity  0.948036 1.000000   0
8             max absolute_mcc  0.535747 0.425420 190
9   max min_per_class_accuracy  0.531468 0.712181 192
10 max mean_per_class_accuracy  0.535747 0.713052 190

Gains/Lift Table: Extract with `h2o.gainsLift(, )` or `h2o.gainsLift(, valid=, xval=)`


 이 베스트 모델은 aml@leader에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모델을 지정하는 방법은 h2o.getModel()을 통해 가능합니다. 모델을 저장하는 방법은 h2o.saveModel()를 사용합니다 .이 때 경로도 같이 정해주어야 합니다. 



# save the model
model_path <- force="TRUE)</span" h2o.savemodel="" object="model," path="getwd(),">


# load the model
saved_model <- h2o.loadmodel="" model_path="" span="">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R 스튜디오 설치 및 업데이트

 R을 설치한 후 기본으로 제공되는 R 콘솔창에서 코드를 입력해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그렇게 하기 보다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R 개발환경인 R 스튜디오가 널리 사용됩니다. 오픈 소스 무료 버전의 R 스튜디오는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며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R을 위한 IDE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www.rstudio.com/  다운로드 R 이나 혹은 Powerful IDE for R로 들어가 일반 사용자 버전을 받습니다. 오픈 소스 버전과 상업용 버전, 그리고 데스크탑 버전과 서버 버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오픈 소스 버전에 데스크탑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상업 버전의 경우 데스크탑 버전의 경우 년간 995달러, 서버 버전은 9995달러를 받고 여러 가지 기술 지원 및 자문을 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버전을 설치하는 과정은 매우 쉽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인스톨은 윈도우, 맥, 리눅스 (우분투/페도라)에 따라 설치 파일이 나뉘지만 설치가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이라면 R은 사전에 반드시 따로 설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R 스튜디오만 단독 설치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죠.   설치된 R 스튜디오는 자동으로 업데이틀 체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R 스튜디오에서 Help 로 들어가 업데이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업데이트 할 내용이 없다면 최신 버전이라고 알려줄 것이고 업데이트가 있다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R의 업데이트와 R 스튜디오의 업데이트는 모두 개별적이며 앞서 설명했듯이 R 업데이트는 사실 기존 버전과 병행해서 새로운 버전을 새롭게 설치하는 것입니다. R 스튜디오는 실제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기 때문에 구버전을 지워줄 필요는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신생대에 박쥐가 등장하면서 플로팔랑곱